•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서각 소장 이두학습서 『이문』에 나타나는 이두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Idu(吏讀) appearing in the Idu(吏讀) study book 『Imun(吏文)』 owned by Jangseogak)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0.12
25P 미리보기
장서각 소장 이두학습서 『이문』에 나타나는 이두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81호 / 417 ~ 441페이지
    · 저자명 : 이현주

    초록

    본 연구는 장서각에 소장된 이두학습서 『吏文』에 대한 서지적 특징 및 이두의 성격을 구명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는 이 자료에 대해서 조선시대에 널리 유통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간본 이두학습서들과 비교작업을 수행하여 장서각 소장 『吏文』은 경상도 함양의 吏胥에 의해 무자년(1828년 또는 1888년) 이후에 『이문대사』를 부분적으로 필사한 자료임을 알 수 있었다. 경상도 함양의 吏胥에 의해 필사되어 吏胥들의 실제 문서 출납 업무에 사용할 정도로 『이문대사』는 이 당시 널리 유통된 이두학습서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장서각 소장 『吏文』은 『吏文大師』의 381 항목 중에서 한자어구를 제하고 한글 독법이 있는 이두만을 발췌하여 필사한 자료이다. 우리가 장서각 소장 『吏文』이 『吏文大師』를 초하여 필사했다고 믿는 이유는 선택된 항목뿐만 아니라 나타나는 표기법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白’의 표기를 ‘ᄉᆞᇣ’으로 한 것과 ’-ᄲᅮᆫ‘을 뜻하는 이두를 ’哛‘으로 적고 있는 점 등도 『이문대사』와 일치하였다.
    우리는 장서각 소장의 『吏文』과 이것을 필사하는데 저본이 된 간본 이두학습서 『이문대사』의 讀法을 면밀히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吏文』의 필사자는 『吏文大師』에서 한글 독법이 있는 이두 항목은 대부분 제시했는데 누락된 항목이 있었다. 우리가 이 누락된 항목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이 항목들을 통하여 필사한 이서의 이두에 대한 인식을 가늠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해서이었다.
    장서각 소장 『吏文』과 『吏文大師』는 그 한글 독법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吏文』의 한글 독법은 『吏文大師』의 그것과 많은 부분에서 일치하지만 부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를 ‘-白-’의 독법, 한자음의 영향을 받은 독법, 음운현상을 반영한 독법, 표기법의 변화를 반영한 독법, 誤寫로 인한 독법으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boo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words for the Idu study book 『Imun(吏文)』 stored in Jangseogak. We compared this data with the published Idu tutorials that were supposed to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in the Joseon Dynasty. We can see that this data is a partial copy of 『Iimundaesa(吏文大師)』 after the year of Muja(戊子, 1828 or 1888) by iseo(吏胥) of Hamyang, Gyeongsang-do. We could guess that 『Iimundaesa(吏文大師)』 was widely circulated at this time, so that a certain iseo(吏胥) in Hamyang, Gyeongsang-do transcribed this material and used it for his actual document deposit and dispensing.
    The collection of Jangseogak's 『Imun(吏文)』 is an excerpt and transcription of only Idu(吏讀), which has Korean reading method, excluding Chinese characters among 384 items in 『Iimundaesa(吏文大師)』. We could confirm the fact that Jangseogak's collection 『Imun(吏文)』 was transcribed by extracting 『Iimundaesa(吏文大師)』 not only in Idu(吏讀) items, but also in the notation that appears.
    We conducted a close comparison of the reading method of 『Imun(吏文)』 in Jangseogak's collection and the publication Idu study book 『Iimundaesa(吏文大師)』, which was the original copy of this book. Through this work, I wanted to gauge the perception of Idu language by iseo(吏胥), who transcribed 『Imun(吏文)』.
    The reading method of Hangul is completely inconsistent between 『Imun(吏文)』 in Jangseogak's collection and publication 『Iimundaesa(吏文大師)』.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consistent in many areas,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