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보 ‘夔州 이후’ 시의 조선적 수용 (Joseon's acceptance of Dufu(杜甫)'s poems of the post Kuizhou(夔州) er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3.02
30P 미리보기
두보 ‘夔州 이후’ 시의 조선적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시학과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시학과 언어학 / 24호 / 109 ~ 138페이지
    · 저자명 : 여희정

    초록

    조선조 문사들에게 두보 기주 이후 시는 두보 시 중에서도 별도로 인식되어 다양하게 언급되어 왔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그 구체적인 양상과 의미를 밝힌 것이다. 두보 기주 이후 시에 대한 담론이 본격적으로 보이기 시작하는 것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이다. 이는 크게 두 경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기주 이후 시에 대한 회의적 담론들은 특히 16·7세기에 주로 펼쳐졌다. 여기서 기주 이후 시는 기존의 법도를 벗어나거나 쇠미한 한탄의 정서를 드러냈다는 점 등으로 인해 배제되어야 하거나 한계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는 이 시기에 주자학의 영향이 커지고 복고주의 문학이 성행한 것과도 연관되는 문제였다. 다른 한편 기주 이후 시는 한 차원 발전되고 새로운 경지를 이룩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그 구체적인 특징에 대해 논의하는 담론이 펼쳐지기보다는, 기주 이후 시가 뛰어나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로 여겨진 채 ‘강산지조설’과 ‘시궁이후공론’과 같은 시 담론에서 준거로써 언급되는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시 담론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던 바, 기주 이후 시는 유사한 사례를 보인 다른 작품들과 한 계열을 이루며 이러한 시 담론이 반복적으로 생성되는 데 기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재능이 있음에도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던 불우한 처지의 시인들, 유배나 등으로 유폐되어 산수에서 지내야 했던 문인들을 위한 시 담론에서 두보 기주 이후 시는 각별한 의미를 지니며 지속적으로 호명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Joseon intellectuals recognized Dufu's peoms of the post Kuizhou era separately among his peoms and metioned them in various method. The discourses on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had started to show up in earnest since the mid-Joseon period. 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aspects. First, there had been skeptical discourse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n these discourses,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were recognized as works that were unworthy of learning or achieved lower level than his poems of previous Kuizhou. This recognition was related to Zhuzixue(朱子學) that influenced Joseon intellectuals and revivalism in literature that had been thriving in the mid-Joseon period. Second, some scholars regarded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as the highest level works. However, they didn't mention why these works are excellent. In these disourses, it was a self evident fact. And then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served an function of basis in poetic discourses that pursu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 among nature, poems and poets. These discourses had been repeated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with citing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It was beacuse the case of Dufu's poems of the post Kuizhou era brought cheer to unlucky poets who have tal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