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통일과정에서 정당의 성격 분석: 동·서독 지배정당을 중심으로, 1945-1990 (Analysis of the Nature of Political Parties i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Centered on the Ruling Parties of East and West German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5.06
20P 미리보기
독일통일과정에서 정당의 성격 분석: 동·서독 지배정당을 중심으로, 1945-1990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북아논총 / 20권 / 2호 / 199 ~ 218페이지
    · 저자명 : 정주신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45년간 지속된 분단 상태의 동서독이 어떻게 통일 독일로 통합될 수 있었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배제와 통합의 변증법’이란 분석틀을 가지고 독일통일과정에서의 동서독의 지배정당을 중심으로 정당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서독의 경우 지배정당으로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CDU/CSU)과 사회민주당(SPD) 등 양당체제와 더불어 그중 한 정당과 연립정권을 구축해온 자유민주당(LDP)이 해당되며, 동독의 경우 지배정당으로 1당 독재의 독일사회주의통일당(SED)이 해당된다. 우선 동서독 지배정당의 역할과 성격을 추출하기 위한 배경적 변수이자 논제의 공통분모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동시대적 기간에 발생하고 상호 연관된 변수로서 ‘동서독의 내부적 상황’과 ‘국제정치적 환경’ 그리고 ‘동서독 정권 담당자’ 등 독일정책의 변화에 접목시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독일 분단과 독일 통일을 공유하고 인식을 정립하기 위해서 분단과 통일의 대칭적 관점에서 배제와 통합의 변증법으로 분석틀을 적용하고자 한다. 요컨대 동독과 서독은 한편으로 철저히 ‘단절’ 내지 ‘배제’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서로 숙명적인 경쟁 상대자로 인지하면서도 서로 교류와 협력을 꾀한 것이다. 즉 동독과 서독은 서로 배제하면서도 새로운 통합을 규정하는 관계에 있었던 것이다. 특히 동서독 간의 교류와 협력이 우세해지는 과정에서는 잠재되어 있던 지배정당의 역할이 동서독 간 정당통합에 결정적 촉매가 되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uling parties in East and West Germany in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of Germany with an analytic framework of “dialectics of exclusion and integration”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on “how Germany could be unified after 45 years of division.”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ristlich-Demokratische Union’(CDU)/‘Christlich-Soziale Union’(CSU) and ‘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SPD) for West Germany as governing parties in the two party system together with ‘Freie Demokratische Partei’(LDP) that formed a coalition government with one of the above parties, and ‘Sozialistische Einheitspartei Deutschlands’(SED), a one party dictatorship in East Germany. First of all, this study progressed discussion on ‘internal situa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and ‘political power in East and West Germany’ as correlated factors of the contemporary time in order to select background factors and common agenda for figuring out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uling parties in East and West German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apply the analytic framework of dialectics of exclusion and integration from the symmetric perspective of division and unification in order to share division and unification of Germany and to establish awareness on them. That is to say,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sought strict ‘severance’ or ‘exclusion’ on the one hand, and also sought exchange and cooperation by admitting each other as a destined rival and competitor on the other hand. In particular, the role of governing bodies in the prevalence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East and West, which was embedded, became the defining catalyst in the unification of political parties in East and West Germa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북아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