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의 시민사회 비교 연구: 시민단체(NGOs) 관련 법과 현황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Civil Society in East Asia: Focusing on the laws and current status of NGO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04
40P 미리보기
동아시아의 시민사회 비교 연구: 시민단체(NGOs) 관련 법과 현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NGO학회
    · 수록지 정보 : NGO연구 / 17권 / 1호 / 1 ~ 40페이지
    · 저자명 : 정상호

    초록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의 사각지대였던 동아시아 3국의 시민사회에 대한 체계적인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세 나라의 시민단체(NGO)의 형성과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법률, 즉 한국의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2000), 중국의 <사회단체등기관리조례>(1998), 일본의 <특정비영리활동촉진법>(1998)의 주요 내용과 특징, 시민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하였다. 또한, 해당 법률이 포괄하는, 정부에 의해 등록·인증된 단체의 현황(한국은 15,460개, 중국은 894,162개, 일본은 50,860개)과 분포, 활동 분야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발견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나라 모두 비슷한 시기에 시민단체(NGO) 관련 법률이 제정되었는데, 한국과 일본은 시민단체의 ‘아래로부터의 요구’가,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증가해 온 시민단체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인 관리 및 규제라는 ‘위로부터의 필요’가 법 제정의 동인(動因)이었다. 또 다른 공통점으로는 관련 법률 제정 이후 시민단체의 가파른 양적 성장과 제도화의 효과, 그리고 지난 20년 동안 절차의 간소화와 투명화라는 행정개혁의 일치된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행정 규제의 차이점 역시 작지 않은데, 일본은 정부의 개입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인증·인가제를, 중국은 엄격한 허가제를 채택하고 있다. 한국은 그 중간수준인 인증제와 공익법인에 대한 허가제를 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단일한 지표와 방법론에 의한 국가별· 지역별 시민사회 비교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ed a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ivil society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which had been a blind spot for research.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law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NGOs in the three countries, <Nonprofit-Nongovernmental Organization Support Act(2000)> in South Korea, <Regulations on the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Social Organizations(1998)> in China, and <law to promote specified nonprofit activities(1998)> in Japan.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organizations registered and certified by the government (15,460 in Korea, 894,162 in China, and 50,860 in Japan) covered by the related law, distribution, and field of activity were examined. The facts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ws related to NGOs were enacted in all three countries around the same time. In South Korea and Japan, the ‘pressure from below’ of civic groups was the primary cause of legislation.
    On the other hand, in China, the “need from above” of the government’s systematic management and regulation of civic groups, which has increased since reform and opening up, w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Another common feature was the rapid quantitative growth of civic groups and the effect of institutionalization after the enactment of related laws, and the consistent direction of administrative reform over the past 20 years of simplification and transparency of procedures.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regulations are also evident. Japan adopts a certification/accreditation system with a relatively low level of government intervention, while China adopts a strict permit system. On the other hand, Korea is at an intermediate level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uses both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permit system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work for a comparative study of civil society by country and region using a single indicator and method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