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주 반죽동 출토 백제 기와의 기초적 검토 - 대통사 창건 수막새의 모색 - (Comparison of the roof tile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Daetongsa Temple during the Baekje Period and those unearthed at Banjukdong, Gongju)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08
32P 미리보기
공주 반죽동 출토 백제 기와의 기초적 검토 - 대통사 창건 수막새의 모색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67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이병호

    초록

    이 글은 공주 반죽동 일대에서 출토된 백제 수막새와 수키와를 분석하여, 그것이 백제 大通寺 창건기에 사 용된 기와라는 것을 밝히고, 그 제작시기와 계통, 역사적 의미 등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2장에서는 공 주 반죽동 197-1번지, 204-1번지, 205-1번지, 176번지에서 발견된 백제 수막새에 대해 문양과 제작기법을 근거로 13형식으로 분류하고 특징을 검토하였다. 또 완형의 유단식수키와를 중심으로 하여 백제 수키와를 분류한 다음, 그러한 수키와들이 13형식의 수막새와 어떤 조합 관계를 보이는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꽃잎 이 원형돌기형을 이루는 1~3형식 수막새는 점토띠·점토판 성형, 미구 A1·A2기법이 구사된 6~8형식의 수 키와들과 연관성을 가지며, 연판의 끝이 융기하는 4~7형식 수막새는 점토띠 성형, 미구 A1기법으로 제작된 1~5형식 수키와와 관련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대통사 창건 기와를 설정하고 계통의 문제를 다루었다. 대통사 창건기의 수막새는 출토 수량이 나 편년에 근거할 때 원형돌기형(1·2형식)과 판단융기형(4~6형식)이 해당한다. 그중 원형돌기형은 남조 기 와 제작기술의 영향이 다수 확인되지만, 판단융기형은 남조보다는 오히려 북조나 고구려 기와와의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반죽동 출토 암막새나 암키와 역시 南京 출토 기와들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고, 오히려 북조·고구려적 요소가 섞여 있다. 웅진기 백제 기와에 남조뿐 아니라 북조나 고구려의 영향이 확인되는 현상은 백제에서는 한성기에 이미 중국 남북조나 고구려의 기와 제작기술이 유입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통사 창건기 기와들은 복수의 공방에서 기와를 공급받는 생산체제가 성립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大通’명 문자기와에 관한 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대통사 창건기 기와에서 확인되는 문양과 제작기법, 계통이나 생산체제 등은 사비기 백제 기와는 물론 신라나 일본의 기와 제작기술에도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vex roof-end tiles and convex roof tiles of the Baekje Period unearthed at Banjuk-dong, Gongju, ascertain whether they were used at the time of the foundation of Daetongsa Temple(大通寺), and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oof tile production system and their historic significance.
    Chapter 2 classifies the convex roof-end tiles of Baekje found at 176, 197-1, 204-1, and 205- 1 Banjuk-dong, Gongju into thirteen types according to their decorative patterns and production techniques, and reviews their features. It also classifies convex roof tiles by type, with the focus on tiered convex roof tiles, and examines how convex roof tiles were combined with the thirteen types of convex roof-end tiles. As a result, it has been ascertained that the convex roof-end tiles (Types 1-3) with embossed lotus petal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the convex roof tiles (Types 6-8), which were made with the clay ring-rim/clay tablet molding/convex roof tile’s tiered end-related A1-A2 techniques. The convex roof-end tiles (Types 4-7) with raised lotus petals are highly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convex roof tiles (Types 1-5) made with a clay ring-rim molding and those made with the tiered end-related A1 technique.
    Chapter 3 addresses the system of producing roof tiles used at the time of the foundation of Daetongsa Temple. The convex roof-end tiles used at that time correspond to the embossed petal patterns (Types 1-2) and petal patterns with the end raised sharply (Types 4-6) in light of the number of those unearthed and the relevant chronology. The tiles with embossed petal patterns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roof tile production skills of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in many ways, whereas those with petal patterns and a raised end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roof tiles of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nd Goguryeo rather than with those of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Likewise, the concave roof-end tiles and concave roof tiles unearthed from Banjuk-dong do not completely match the roof tiles of Nanjing, and are rather mixed with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The fact that the influences of both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nd Goguryeo have been identified in the roof tiles of the Ungjin-Baekje period is attributable to the earlier adoption of the roof tile production skills of these three dynasties during the Hanseong-Baekje period. It was initially assumed that a system for supplying roof tiles from multiple workshops was established by the time of the foundation of Daetongsa Temple, and this was in fact ascertained by an analysis of roof tiles inscribed with the Chinese characters “大通” (pronounced “Daetong”). It is thought that the decorative patterns, production methods, and production system related with the roof tiles used at the time of the foundation of Daetongsa Templ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oof tiles of Silla and Japan as well as those of Sabi-Baekj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