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북한 및 동아시아 주변국의 토지개혁 과정에 관한 서설적 연구 (Introductory Study on the Land Reform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East Asi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0.12
37P 미리보기
남북한 및 동아시아 주변국의 토지개혁 과정에 관한 서설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통일과북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북한법연구 / 24호 / 7 ~ 43페이지
    · 저자명 : 권은민

    초록

    2차 세계대전 이후 한반도에는 대한민국(남한)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수립되었다. 남북한은 모두 토지개혁을 시행했다. 또한 동아시아 주변국에서도 토지개혁이 시행되었다.
    이 논문은 최근 발간된 자료를 통하여 토지개혁 당시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결과로 이루어진 토지소유 및 사용현황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검토한다.
    흔히 북한은 무상몰수 무상분배의 방식으로, 남한은 유상몰수 유상분배의 방식으로토지개혁이 이루어졌다고 토지개혁의 결과를 이해하고 있지만 그 개혁 과정 당시를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개혁과정이 단순하지 않았고, 개혁의 결과를부정하기도 쉽지 않다. 또한 동아시아 각국의 토지개혁을 검토함으로써 그 당시 토지개혁이 시행된 역사적 배경을 되새겨 본다.
    북한에서 토지개혁은 현행 토지제도의 출발점이다. 토지개혁은 혁명적 과정을 거쳐 기존의 질서를 파괴하고 새로 세운 질서다. 그 과정은 한 번에 끝난 것이 아니고 하나의 원칙으로 진행된 것도 아니다. 토지개혁법이라는 법에 근거하였지만 집행과정에서는 계급투쟁이라는 혁명투쟁의 방식에 의해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희생된 생명도 무수히 많았다.
    이런 역사적 현실을 고려해 볼 때, 1946년 3월 이전에 소유권을 보유하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하여 그 이후에 수립된 현실을 부정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특히1946년의 토지개혁이 그것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그 이후 농업협동화과정을 거쳐 재국유화된 상황을 고려한다면 과거의 권리에 기한 주장을 허용하기는 더욱 어렵다. 또한그로부터 지금까지 70여년이 지난 시간과 그 동안 북한 주민이 그 토지에 근거하여생활을 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영어초록

    After World War II,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were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oth North and South Korea initiated land reform. Moreover, land reforms were implemented in several countries of East Asia.
    This study examines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land reform in light of the recently published materials and reviews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ing land ownership and use to us today.
    Often, we comprehend land reform in North Korea as confiscation without compensation and distribution without charge and that in South Korea as confiscation with compensation and distribution with charge. Yet, if we examine closely the lives of those who lived through the period of land reform, the process of reform was not simple, and it is not easy to negate the consequences of land reform. Furthermore, by reviewing the land reforms of several countries in East Asia, the study seeks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land reform.
    Land reform in North Korea is the starting point of its current land system. Land reform is defined as an order established by dismantling the existing order through a revolutionary process - the process did not end as a single event, nor did it proceed as a single principle. Although it was based on a law, namely the Land Reform Law, the land reform was launched in a form of revolutionary struggle - class struggle - and countless lives were sacrificed in the course of reform.
    Given such historical reality, it is difficult to negate the reality on the grounds of the historical fact that ownership was held before March 1946.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land reform in 1946 was followed by re-nationalization through the agricultural collectivization program, it is more difficult to accept the argument grounded in past rights. It is also vital to consider that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and that North Koreans have been living on the land for that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