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해안지역 중기 즐문토기사회의 동향 –동삼동과 범방유적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Middle Neolithic Societies in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09.11
18P 미리보기
남해안지역 중기 즐문토기사회의 동향 –동삼동과 범방유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66권 / 6호 / 27 ~ 44페이지
    · 저자명 : 하인수

    초록

    본고의 목적은 남해안지역의 사회에서 간취되는 생업구조와 생산활동, 도구체계의 변화 양상을 통해 신석기시대 중기사회의 일면과 움직임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수렵 ․ 채집이 주요 생업 기반이었던 남해안지역의 사회는 중기를 기점으로 많은 사회․경제적 변화가 일어나는데, 전기 말 무려부터 한반도 남부지역에 유입되기 시작한 조, 기장을 중심으로 하는 잡곡농경이 그 변화의 핵이라고 할 수 있다.
    잡곡농경이 기존의 생업구조에 편입됨으로써 나타나는 생계양식의 다변화는 여러 면에서 기존의 질서와 다른 사회․경제적인 변화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기 이후부터 폭발적으로 급증하는 타제석부와 대용량 토기의 출현, 다양한 즐문토기의 기종구성과 소비량의 증가, 조기 이래 견과류를 분쇄하는 갈돌, 갈판의 정형화 등은 이러한 변화 양상을 반영하는 요소로 생각된다.
    특히 잡곡재배는 기존의 생업 시스템에서 얻지 못하는 또 다른 형태의 식량자원과 잉여생산물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중기 즐문토기문화의 발전에 원동력을 제공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기 사회에는 주변의 소규모 집단을 아우르는 중심 집단 내지 거점집단이 지역마다 존재하고, 이들은 특정 물품을 생산, 유통시키면서 사회․경제적으로 주변 집단을 리드하는 역할과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범방유적의 외래계 마제석부와 동삼동패총의 조개팔찌를 생산과 유통의 관점에서 본다면 중기 사회에는 특정물품(특산품)을 전업적으로 대량생산하여 공급하는 집단의 존재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middle Neolithic society through the changes in the economic structure, production activities, and tool system in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Groups in these areas, whose subsistence primarily consisted of fishing and gathering,underwent many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mid-Neolithic. One major change was millet farming, which was introduced to the southern areas of the peninsula from the end of the early Neolithic. It has been speculated that various changes in the economy since the beginning of cereal agriculture would cause distinct socio-economic changes. Some of these changes were the appearance of detached stone axesin increasing numbers, large capacity pottery beginning in the mid period, stylistic changes in Jeulmun pottery, an increase in consumption, and the standardization of grinding stones from the early Neolithic, used in pulverizing nuts. Specifically, the exploitation of various cereals provided an additional resource as well as surplus that had not been possible before. This improved productivity and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mid-Jeulmun pottery culture.

    Larger groups that surrounded these small-scale societies played a role in influencing the latterby producing and distributing specific products. There was most likely a specialized division of labor that mass produced local products on a full time basis during the mid-Neolithic. This is evident by examining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objects such as the foreign-introducedpolished stone axes from Beombang Remains and shellfish bracelets from Dongsam-dong Shell M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