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麗末鮮初 箴銘類 硏究 - 『東文選』 所載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ammyeongryu in the latter Koryo and earlier Choson Period - Concentrating on the works of Dongmunse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09.01
36P 미리보기
麗末鮮初 箴銘類 硏究 - 『東文選』 所載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21호 / 35 ~ 70페이지
    · 저자명 : 김성훈

    초록

    본 연구는 한문학 분야에서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漢文散文의 여러 文體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했다. 이런 의미에서 90년대에 들어서서 漢文散文의 연구 성과가 빠르게 축적되고 있는 현상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하지만 필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箴銘類에 관한 연구는 작가나 작품에 대한 연구 성과가 대단히 미미한 실정으로 漢文學槪論書나 漢文學史에서도 간략한 소개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문학에서 箴이 출현한 시기는 고려시대라고 볼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작가로는 이규보, 이제현, 이색, 이달충, 정추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이규보와 이제현의 작품은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 箴의 위상에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箴이라는 문체의 특성이 전통적으로 道學者的 성격을 가지고 있고 自警에 목적을 두었는데, 이 두 작가는 풍자적인 기법을 통해 대사회적인 문제를 넌지시 꼬집었다는데 다른 작가들과의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銘은 警戒와 頌祝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 중 경계의 기능을 가진 銘은 다양한 소재를 통해서 경계의 뜻을 나타내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사물을 의인화하는 비유적 표현이 나타나는 작품이 많은데, 특히 소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는 모든 사물, 심지어 추상적인 것도 소재가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소재의 다양성’ 측면으로 말하자면 그 어느 문학 장르에도 뒤지지 않는 것이 銘이라는 문체이다.
    필자는 箴銘類에 철학적 사유 뿐 아니라 문학적 가치도 충분히 발견되는 바, 우선 『東文選』 所載 箴銘類를 대상으로 그 양식적 특성을 살피고 문학성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s to examine many literary styles of the Chinese classics prose that has been carelessly dealt at the field of Chinese literature. In such a sense, it is very much encouraging to accumulate research outcome of the Chinese classics prose in the 1990's. However, Jammyeongryu (箴銘類) that the author wants to examine has been researched very much little at writers as well as literary works to introduce it even at introduction to the Chinese literature as well as history of the Chinese literature.
    Jam (箴) is thought to make appearance at the Korean literature for the first time in the era of Koryo to have writers such as Lee Kyu-bo, Lee Jae-hyeon, Lee Saek, Lee Dal-chung and Jeong Chu, etc. The literary works of both Lee Kyu-bo and Lee Jae-hyun are very much valuable at Jam's status at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The literary style of Jam has moralist characteristics traditionally to be aimed at Jakyeong (自警), and both writers commented social problems implicitly by satirical technique to show difference with other writers.
    And, myeong (銘) has functions of both warning and blessing at the same time. Myeong with warning can express warning intention through a variety of materials. Many literary works can express objects by personification, and all of objects and even abstract object can be used to be material. From point of view of 'variety of the materials', literary style of myeong can be as much good as other literary genres.
    The author can find out literary values enough even at Jammyeongryu: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style characteristics and literature of Jammyeongryu in 'Dongmun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