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청일전쟁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Sino-Japanese War in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08
31P 미리보기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청일전쟁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격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격교육 / 18권 / 3호 / 277 ~ 307페이지
    · 저자명 : 송웅섭, 홍문기

    초록

    이 연구는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 청일전쟁의 서술체제와 내용을 분석한 결과다. 2024년은 청일전쟁 개전 130주년으로, 이 전쟁은 한반도와 만주에서 청나라와 일본이 벌인 전쟁으로 동북아시아의 조공질서 붕괴와 서구열강 중심의 근대 외교체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청일전쟁은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의 완성과 아시아 평화를 위한 ‘정의의 전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중국과 한국에서는 열강 침략으로 인해 국제적 영향력을 상실한 결정적 사건으로 인식된다.
    청일전쟁은 한반도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한국 사회 전반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이 전쟁에 대한 기억은 승전국 일본에 의해 왜곡되어 한국의 입장은 배제되었다. 한국 학계와 사회는 청일전쟁을 동학농민운동 및 갑오개혁과 밀접하게 연관 지어 복합적으로 인식한다. 갑오개혁은 침략적 환경에서 추진되었으나 자주국가 지향이라는 의의를 가지며, 동학농민혁명은 반외세와 반봉건을 주장한 민중운동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당시 조선 정부가 일본과 협력하여 농민군을 탄압한 사실은 일본의 침략에 대한 한국 사회의 입장을 모호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해, 그동안 발간된 『동아시아사』 교과서 및 교육과정, 집필기준 등을 분석하여 청일전쟁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역사적 평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동북아시아 근대사 속에서 청일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교수해야할지 검토했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2025년부터 사용될 『동아시아 역사기행』 교과서 집필 및 교육에서 고려해야할 점들을 ‘청일전쟁의 배경을 어디까지로 설정할 것인가’, ‘어떠한 조약들을 제시할 것인가’, ‘경복궁 점령 사건의 의미는 무엇인가’, ‘동학농민군과 조선군의 충돌을 어떻게 교수할 것인가’, ‘청일전쟁 당시 저항의 연대는 없었는가’ 등으로 제안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Sino-Japanese War in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The year 2024 marks the 130th anniversary of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a conflict between the Qing Dynasty and Japan fough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Manchuria. This war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East Asian tributary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diplomatic system centered around Western powers. While Japan views the Sino-Japanese War positively as a "just war" for the completion of the Meiji era and the peace of Asia, China and Korea perceive it as a pivotal event leading to the loss of international influence due to imperialist aggression.
    The Sino-Japanese War caused extensive damage to Korean society, but the memory of this conflict has been distorted by the victorious Japan, marginalizing the Korean perspective. Korean academia and society view the Sino-Japanese War in close association with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Gabo Reform. Despite being driven in an imperialist context, the Gabo Reform is recognized for its significance in aiming for a modern independent state, while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s seen as a representative anti-foreign and anti-feudal movement. However, the collaboration of the Joseon government with Japan to suppress the peasant army complicates the evaluation of Japan’s invasion.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issue, I analyzed the textbooks, curricula, and writing standards of "East Asian History" that have been published so far. Through this analysis, I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various perspectives and historical evaluations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and explored how to understand and teach the war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Northeast Asian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