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와 문명: 세계체제론적 전망 — 서구적 시각을 중심으로 — (East Asia and Civilization: Prospect of World System Theory - Focused on Western Perspectiv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9.08
38P 미리보기
동아시아와 문명: 세계체제론적 전망 — 서구적 시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99호 / 127 ~ 164페이지
    · 저자명 : 전홍석

    초록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연구(Area Studies, 지역학)와 연계된 국제관계상 종속체계로서의 타자적 인식공간과 그에 따른 자아적 재생산을 무력화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세계체제 분석상 국지적 체제로서의 ‘동아시아’를 호명하고 그것의 외부(서양)적 의미부여, 그리고 지역 내부와의 긴장관계를 근현대 동아시아의 역사지형에서 통찰, 재개념화를 시도했다. 여기에는 포스트–모던 맥락에서 서구적 보편주의와 그에 저항하는 지역연구의 새로운 시각, 지역지식의 재구조화가 포함되었다. 이를테면 세계체제론의 대표적 서양학자인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과 조반니 아리기(Giovanni Arrighi)의 동아시아에 대한 개념화적 맥락, 즉 전자의 ‘서구적 외인성外因性’과 후자의 ‘전통적 내인성內因性’이라는 대립적인 두 시각을 고찰했다. 더불어 탈근대 ‘동아시아식 체제모델’의 동학을 월러스틴의 ‘보편적(지구적) 보편주의(universal universalism)’와 아리기의 ‘문명연방(common wealth of civilization)’의 교차지점에서 포착, 전망해보고자 했다. 월러스틴과 아리기는 동아시아체제에 대한 선명한 인식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점에서 의미심장한 접합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현 동아시아세계에 뿌리 깊게 착근된 서구식 세계체제 모델의 종식과 향후 ‘신아시아시대’의 도래를 전망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신아시아시대의 성격 규명상 동서양 융ㆍ통합의 혁신적인 ‘문명시스템’을 상정한다는 사실이다. 이 두 학자의 이론은 새로운 동아시아 다이멘션(Dimension)으로서의 ‘지역시스템’을 구상하는 데 유의미한 지식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planned to disable ego reproduction from the cognitional space of others as a subordinate system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ssociated with area studies of East Asia. In specific, this study called for ‘East Asia’ as a local system in the world system analysis, attempting to define the external (western) meaning and gain an insight and reconceptualize the strained internal relationship through historical topography of East Asia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This included a new view on the post-modern western universalism and restructuring of area knowledge. For instance, this study examined the two conflicting views that the conceptual contexts of East Asia proposed by leading western scholars of the world system theory, Immanuel Wallerstein and Giovanni Arrighi, namely ‘western exogeneity’ of the former and ‘traditional endogeneity’ of the latter.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view the dynamics of the post-modern ‘East Asian system model’ at the crossing point of Wallerstein’s ‘universal universalism’ and Arrighi’s ‘commonwealth of civilization.’ Despite clear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the East Asian system, Wallerstein and Arrighi have two significant points in common. First is that they forecast the end of the western world system model rooted deeply in East Asia and the coming of the ‘New Asian Era.’ Second is that they presume an innovative ‘civilization system’ that converges the eastern and western worlds as a characteristic of the New Asian Era. Theories of these two scholars can be utilized as meaningful knowledge resources in designing the ‘area system’ within the new East Asian dimen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