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유럽 모던'과 '동아시아 근현대'에 대한 포스트식민적 고찰 (An Post-colonial Approach to‘West-European Modern’ and ‘East-Asian Geunhyunda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08.02
36P 미리보기
서유럽 모던'과 '동아시아 근현대'에 대한 포스트식민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중국연구 / 9권 / 2호 / 343 ~ 378페이지
    · 저자명 : 임춘성

    초록

    ‘동아시아 근현대’라는 개념은 의론이 분분한 시공간이다. 서유럽의 ‘모던’은 한국에서는 ‘근대’라는 기표로, 중국에서는 ‘셴다이’(現代)라는 기표로 표기되고 있다. 그러나 ‘근대’와 ‘셴다이’는 자국의 맥락을 벗어나 상대국의 맥락으로 들어가면, 단순한 시간개념으로 변질되고 만다. 그러므로 ‘근대’와 ‘셴다이’를 아우르는, 나아가 일본의 기표까지 포괄하는 동아시아의 기표를 설정할 필요가 대두된다. 이 글에서 잠정적으로 제기하는 ‘동아시아 근현대’라는 기표는 통합을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소통을 기대하는 것이다.
    근현대 동아시아 지식인들은, 서유럽의 모던 과정이 있었고 동아시아는 그것을 모범으로 삼아 약간의 특수성을 가미해서 근현대 과정을 겪은 것으로 이해해왔다. 그러나 서유럽의 모던은 유럽 내부에서 순수하게 형성․발전한 것이 아니라 서유럽과 서유럽 외부의 관계를 통해서 구성된 것이다. 우리의 과제는 서유럽의 모던 과정을 여러 가지 모던 과정의 하나로 설정하고 다양한 모던 과정의 하나로 ‘동아시아 근현대’를 고찰하는 일이다. 딜릭의 ‘역사들’과 홀의 ‘다인과론적 접근’은 유용한 개념이다.
    포스트식민적 접근에 의하면, 서유럽이라는 개념은 단순한 지리적 개념이 아니고 역사적으로 구성되었다. 그것은 동아시아 등 ‘그 외의 사회’를 타자화시키는 과정 속에서 발명되었고 ‘그 외의 사회’에 강요되었으며 ‘그 외의 사회 사람들’은 그것을 내면화했고 열심히 추종해왔던 것이다.
    ‘포스트모던’은 중국에서는 ‘허우셴다이’로, 한국에서는 ‘탈근대’로 번역되었다. 지속(after)과 변화(de-)의 이중적 의미를 절합시키고 있는 post-를 하나의 단어로 번역하는 것이 쉽지 않기에 중국은 後의 측면을 한국은 脫의 측면을 강조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역으로 중국에서는 脫의 측면이, 한국에서는 後의 측면이 간과되고 있음도 부인할 수 없다. 이처럼 동아시아가 서로 공동의 ‘기표’를 만들려는 노력을 경주하지 않는다면 상호 의사소통이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다. 이 글의 맥락에서 말하자면, 한국의 ‘탈근대’와 중국의 ‘허우셴다이’는 동아시아의 ‘포스트근현대’로, 한국의 ‘탈식민’과 중국의 ‘허우즈민’은 동아시아의 ‘포스트식민’으로 표기하자는 것이다.
    ‘내재적 유배’ 또는 ‘셀프-오리엔탈리즘화’는 서유럽의 모더니티를 내면화한 결과다. 동아시아의 근현대 과정에서 ‘서유럽지향적 소외’는 명시적이었고 따라서 쉽게 투쟁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었던 반면, 근본주의적 또는 전통지향적 소외는 서유럽을 부정하면서 자국의 전통에 집착하게 만들기 때문에 토착적 주체의 형성과 혼동되기 쉽고 따라서 서유럽지향적 소외의 극복으로 착각되곤 한다. 이 두 가지 소외는 함께 극복되어야 한다.
    이처럼 ‘서유럽 모던’과 ‘동아시아 근현대’의 관계는 단순한 번역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타자화와 내면화의 문제, 서유럽지향적 소외와 전통지향적 소외의 동시 극복 문제 등과 연계된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notion of ‘East Asian geundae(近現代)’ is a argumentative time and space. West European ‘modern’ has been interpreted as ‘geundae(近代)’ in Korea and as ‘xiandai(現代)’ in China. However, when each interpretation travels beyond its own national context and go into the context of another nation, they are easily contaminated only containing temporal meaning. Thus we need to make an East Asian signified for the notion of the ‘West European modern,’ which includes not only ‘geundae’ and ‘xiandai,’ but also a Japanese signified. The East Asian signified for the West European modern does not aim at unification but seeks communication, as this study tentatively suggests. East Asian intellectuals in the modern era have understood that there was a historical process of modernity in West Europe and East Asia has modeled after and experienced it with characteristics more or less peculiar to East Asia. Here we should keep in mind that West European modernity was a result of the interrelations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West Europe. Thus we need to posit West European modernity as one of many different processes of modernity and to examine the ‘East Asian geundae’ as one of them. In this sense, Arif Dirlik’s notion of ‘histories’ and Stuart Hall’s ‘multi-causal approach’ are very useful.
    According to the post-colonial approach, the notion of West Europe is not merely geographical, but is historically constituted. This notion was invented in the process of alienation of ‘other societies’ including East Asia and has been enforced on the ‘other societies.’ Peoples in the ‘other societies’ have internalized and eagerly imitated it. ‘Post-modern’ has been interpreted as ‘hou-xiandai(後現代)’ in China and as ‘tal-geundae(脫近代)’ in Korea. It is difficult to fully carry the meaning of ‘post-,’ because ‘post-’ contains connotations of both ‘after’ and ‘de-.’ Thus, while China emphasizes the part of ‘after’ in its interpretation, Korea stresses the part of ‘de-.’ To put it another way, this informs us that China and Korea neglect the ‘de-’ part and the ‘after’ part, respectively. If we don’t make efforts to invent a common signified for the ‘modern,’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will be more and more impaired. This study suggests that we translate Korean‘ tal-geundae’ and Chinese ‘hou-xiandai’ as East Asian ‘post-geunhyundae’ and Korean ‘tal-sikmin(脫植民)’ and Chinese ‘hou-zhimin(後殖民)’ as East Asian ‘post-sikmin.’
    The ‘internal exile’ and the ‘self-orientalization’ are the results of the East Asian internalization of West European modernity. The aspect of ‘West Europe-inclined alienation’ has been evident in the modern process of East Asia and, accordingly, regarded as a target of criticism. In contrast, since they negate West Europe and make one to attach to national traditions, fundamentalist and tradition-oriented alienations have been easily confused with the formation of indigenous subject and, thus, misunderstood as the overcoming of the West-inclined alienation. Both alienations should be overcome at the same time.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st European modern’ and the ‘East Asian geundae’ goes beyond the mere problem of interpretation, having closely to do with the problems of alienation, internalization, and simultaneous overcoming of the West Europe-inclined and tradition-oriented alien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중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