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형폐지의 길 - 동아시아에 있어 사형폐지에 관한 논고 - (Study on the abolition of the capital punishment in Eastern Asi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9.05
26P 미리보기
사형폐지의 길 - 동아시아에 있어 사형폐지에 관한 논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북아법연구 / 13권 / 1호 / 233 ~ 258페이지
    · 저자명 : 鈴木敬夫, 박상진

    초록

    사형제도의 폐지는 이제 세계적 흐름이다. 국제 엠네스티 보고서에 따르면, 1977년에 사형을 폐지한 국가는 16개국이었다. 하지만 2018년에는 106개의 국가가 법률상 사형제도를 폐지하고 있다. 더욱이 법률상으로 사형제도가 존치되어 있으나 10년 이상 사형을 집행하지 않는 사실상 폐지국으로 분류되는 나라가 49개국에 이르고, 전시를 제외한 일반범죄에 대해서 사형을 폐지한 국가도 7개국이다. 이와 같이 법률적이든 실질적이든 사형제도를 폐지한 국가가 2018년 기준으로 162개국에 이른다(따라서 현재 UN회원국 195개국 중 33개국이 사형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의 상당수 국가들 - 중국, 일본, 대한민국, 북한, 대만,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 은 여전히 사형제도를 존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사형제도가 조만간 없어질 것 같지도 않다. 이러한 현상은 동아시아의 특유한 역사적 문화적 영향도 있겠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인권의식의 고양과 생명 존중의 세계사적 큰 흐름 하에서 볼 때, 예외적이다.
    본 논문은 스즈키케이후(鈴木敬夫) 교수가 중국과 한국, 대만의 사형폐지에 관한 논고를 札幌學院法學에 세 번에 걸쳐 나누어 실은 논문을 다시 한 편의 논문 안에 각국에서의 주요 학설과 그 나라들의 고유한 사형폐지의 문제점과 실태를 언급하고 나서 합리적 사형폐지의 길을 찾고 있다. 사형제도의 존폐는 그 나라의 정치적·사회적 및 역사적·문화적 환경과 깊이 결부되어 있는 문제이다. 현재 우리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사형제도를 합헌으로 결정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실질적으로 사형집행을 10년 이상 하지 않은 나라로 사형폐지국에 속해 있다. 앞으로도, 사형을 형벌로서 계속 존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하여는 진지한 찬반 논의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e abolition of the capital punishment is a global trend. According to an Amnesty International report, 16 countries had abolished the capital punishment by 1977; by 2018, 106 countries had legally abolished it. Moreover, 49 countries worldwide are abolitionist-in-practice (have not executed anyone during the last ten years or more despite having a legally established capital punishment), and seven countries are abolitionist-in-law for all crimes except for those committed in wartime. Thus, as of 2018, 162 countries have abolished the capital punishment, whether de jure or de facto (33 countries out of 195 UN member states retain the capital punishment). However, despite this global trend, a considerable number of east Asian countries—includ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apan, the Republic of Korea,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Republic of Singapore,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and the Republic of Indonesia—still retains the capital punishment, and it seems the death penalty in these countries will not be abolished in the near future. Although this phenomenon partly attributes to the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influence of east Asia, it is exceptional considering the broader trend of human rights awareness and the respect for life.
    This paper summarizes and integrates the three-part journal on the abolition of the capital punishment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China by professor Suzuki Keifu (published in ------), examines the main theories, respective problems and reality of each country, and attempts to seek a way to the rational abolition of the capital punishment. The abolition of the capital punishment is a matter deeply intertwined with the country’s political,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s of now,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of the Republic of Korea have decided the capital punishment constitutional. Yet, the Republic of Korea have not executed anyone during the past decade, making itself an abolitionist-in-practice country. The earnest discussion on whether death should remain as a punishment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북아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