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영토분쟁과 한미동맹: 독도 영유권 수호를 위한 의미 (Territorial Disputes in East Asia and the ROK-US Alliance: Its Meaning in Defending the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9
23P 미리보기
동아시아 영토분쟁과 한미동맹: 독도 영유권 수호를 위한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보훈논총 / 16권 / 3호 / 35 ~ 57페이지
    · 저자명 : 배규성

    초록

    동아시아는 21세기의 가장 큰 지정학적 도전의 장이다. 중국의 부상에 따라 미국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이 지역에 집중되고, 미국은 이 지역에서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고 미국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재균형(Rebalance to the Asia-Pacific Region) 또는 아시아로의 회귀(Pivot to Asia)로 정책을 전환했다. 그리고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이 그 중심축이다. 그러나 일본과 주변국가들과의 영토분쟁은 이 지역에 새로운 긴장관계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 간의 독도를 둘러싼 영토적 갈등은 미국의 동아시아 핵심 동맹국들인 한국과 일본의 관계에 균열을 야기해 미국의 정책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본이 동아시아 지역에서 주변국들과 벌이는 영토 분쟁과 이들 분쟁에 대한 미국의 입장, 정책, 동맹 관계를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의 독도 영유권 수호를 위해 어떤 함의가 있는 지를 살펴볼 것이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동맹 입장에서 중국과 일본이 다투고 있는 센카쿠 문제, 러시아와 일본이 다투고 있는 쿠릴열도 문제와 한국과 일본이 갈등 중인 독도문제는 전혀 차원이 다른 문제들이다. 센카쿠 분쟁과 쿠릴열도 분쟁은 미국의 동맹국인 일본과 미국이 견제해야 하는 잠재적 경쟁국 간의 분쟁인 반면, 독도문제는 중국에 대응한 동아시아 핵심 동맹국간의 갈등인 것이다. 따라서 한일관계에 대한 미국의 정책적 목표는 전통적으로 해온 방식대로 중재도 표면적 개입도 하지 않으면서 한일 양국이 당사자 교섭을 통해 평화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거나 적어도 분쟁을 악화시킬 수 있는 행동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어쨌든 독도 문제의 해결에는 미국의 역할, 즉 한미동맹이 핵심 열쇠이다. 따라서 일본에게는 독도문제의 해결(한국의 독도 영유권 인정)이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일 간 미래지향적 관계의 출발점임을 인식시키고, 미국에게는 이런 한일관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할 역할과 책임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East Asia is the biggest geopolitical challenge of the 21st century. With China’s rise as superpower, strategic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are concentrated in this region. The United States shifted its policy to rebalance in the Asia-Pacific Region or Pivot to Asia in order to constrain China’s rise and maintain its influence in the region. And the ROK-US and the US-Japan alliances are the central axes of the US policy in this region. However, Japan’s territorial disput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Russia and Korea are creating new tensions in the region. In particular, the territorial conflict over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has created a crac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the key allies of the United States in East Asia, which have become a major obstacle to US polic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ositions and policies of the alliances of US with respect to Japan’s territorial disput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and examine their meanings for the defense of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In conclusion, the issues of Senkaku and Kuril Islands for the sovereignty for which Japan is struggling with China and Russia and the Dokdo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US alliance. The former disputes are conflicts between the a US’s key Ally and US’s potential competitors, the latter is a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key allies of the US in East Asia in response to China’s rising. Therefore, the US’s policy goals for the Korea-Japan relationship are to encourage these two allies to resolve the issue peacefully through negotiation, or at least to keep the two from engaging in actions that could aggravate the dispute without intervening arbitrarily, as traditionally. Anyway,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in the ROK-US alliance is the key in resolving the Dokdo issu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Japan to recognize that the resolution of the Dokdo issue(recognition of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is the starting point of a future-oriented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for peace and prosperity in East Asia and give the United States a role and responsibility to strive for the development of this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