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국원왕대 ‘平壤東黃城’의 위치와移居 기록의 성격 (The Location of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during the Reign of King Gogugwon and Character of the Records of Migration to the Fortres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0.05
34P 미리보기
고국원왕대 ‘平壤東黃城’의 위치와移居 기록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57호 / 317 ~ 350페이지
    · 저자명 : 기경량

    초록

    427년 고구려는 평양으로 천도를 단행하였다. 이후 평양 지역은 고구려가 멸망할 때까지 왕도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천도 이전부터 이미 고구려왕이 평양 지역을 국정 중심지로 삼았음을 시사하는 기록이 있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삼국사기』 고국원왕 13년조(343)에 따르면 고국원왕이 “平壤東黃城으로 移居하였다”고 한다. 이에 적지 않은 학자들이 고국원왕이 이거하였다고 하는 ‘평양동황성’의 위치를 규명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삼국사기』 기록에는 ‘평양동황성’이 “지금의 서경 동쪽 목멱산 중에 있다”는 설명이 부가되어 있다. 이는 『삼국사기』가 편찬되었던 고려 시대에 덧붙여진 정보로서, ‘평양동황성’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이다. 조선 시대 제작된 지리서와 고지도들에는 실제로 평양의 동쪽에 위치한 의암동 일대에 목멱산이라는 지명과 ‘황성’이라는 유적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일제시기에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의암동 일대에는 실제로 토성 유적이 존재하였다. 최근 새로 발굴된 자료인 『朝鮮城址實測圖』에는 의암동 토성의 실측 도면이 실려 있어 그 규모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 의암동 토성 유적이야말로 ‘평양동황성’, 즉 ‘평양 동쪽에 있는 황성’의 실체라고 판단된다. 다만 이 성은 규모가 매우 작고 입지상으로도 왕성으로 인정하기 어렵다. 낙랑군이 존속하던 시절 하부 행정 단위의 시설이거나 대동강의 渡江 위치에 설치된 거점 방어 시설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고국원왕이 이곳으로 이거하였다는 『삼국사기』 기록이 과연 고구려 당대의 것이 맞는지도 그 사실성을 신뢰하기 어렵다. 『삼국사기』 편찬 당시 여러 자료를 취합하는 과정에서 의암동 토성과 관련해 평양 현지에서 떠돌던 부정확한 전승이 채록되어 삽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영어초록

    King Jangsu of Goguryeo transferred the capital to Pyeongyang in 427. Later, the Pyeongyang area acted as the king’s city until Goguryeo collapsed. But there is a record that suggests that kings of Goguryeo took this place as the center of state affairs even before the reign of King Jangsu, staying in the Pyeongyang area, which drew researchers’ attention. It is the record in Year 13 of the reign of King Gogugwon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Samguk Sagi). According to the record, King Gogugwon “migrated to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in 343. Thus, many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and researched the location of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to which King Gogugwon migrated.
    And yet, in the record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there is a description that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is “in Mt. Mongmyeok-san, east of Seogyeong of today.” This is the information added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iod whe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ere compiled, which is an important clue for the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In Geographic books and old maps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can be found that there was a place name of Mt. Mongmyeok-san, and there was a relic named ‘Hwang-seong’ in the area of Euiam-dong located east of Pyeongyang. In the area of Euiam-dong, there was a relic of a fortress, which was verified in a surve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Especially, in the newly excavated material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Joseon Seongji Silcheukdo, there are the surveyed drawings of Euiam-dong Fortress, which help understand its size and shape.
    From various situations, the relic of Euiam-dong Fortress is judged to be the substance of ‘Pyeongyang Donghwang Fortress’, that is, ‘Hwang-seong located east of Pyeongyang.’ And yet, this fortress is very small, and it is hard to accept it as a king’s fortress.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it as a facility of the subordinate administrative unit when there was Nangnang-gun or a facility for strongpoint defense installed in the place for crossing the Daedong-gang River. It is difficult to trust the record that King Gogugwon moved here is that of the Goguryeo period. It is judged to be reasonable to understand it as a record inaccurately passed down related to the relic of Euiam-dong Fortress insert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various mater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iod whe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ere compi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