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1925년 『동아일보』의 유통망 확장과 지국장 (Expansion of Distribution Network and Branch Manager of Dong-A Ilbo from 1920 to 1925)

7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4.02
75P 미리보기
1920~1925년 『동아일보』의 유통망 확장과 지국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85호 / 355 ~ 429페이지
    · 저자명 : 박철웅

    초록

    본 연구는 1920~1925년 『동아일보』의 유통망 확대와 신문의 유통과정을 추적하고, 이 시기 동아일보 지국장 경력자들이 본사가 주도한 문화운동에 얼마나 참여했는지 밝히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20년 4월 1일 창간한 『동아일보』는 지역의 유통망 확보를 위해 힘썼다. 그 결과 창간 당시 지국 25개에 불과했던 『동아일보』의 유통망은 1925년 말에 이르면 지국 124개, 분국 182개까지 확대되었다. 높은 문맹률과 빈곤으로 인하여 1925년 『동아일보』의 가정당 구독률은 1%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당시 식민지 조선에는 신문을 온 마을이 돌려 읽는 윤독과 문맹자를 위해 식자가 글을 읽어주는 낭독이 독서의 일상적 형태로 자리 잡고 있었다. 동아일보 본사가 전국 곳곳에 유통망을 설치했기 때문에 이러한 풍경은 일부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적으로 나타날 수 있었다.
    경성에서 인쇄된 『동아일보』는 본사 → 지국 → 분국의 체제 아래 전국에 유통되었다. 지국장은 직할 지역과 분국의 관할 지역 내 신문 유통을 책임졌다. 교통이 좋은 지역의 『동아일보』 구독자들은 당일의 신문을 받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1921년의 영주같이 유통의 말단에 위치하고 철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이나, 1925년의 제주도처럼 도서지역의 『동아일보』 구독자들은 당일 발행되는 신문을 볼 수 없었다. 벽지에 거주하는 『동아일보』 구독자들은 신문을 받은 날짜와 그 신문의 발행일 사이의 간격이 클 수밖에 없었다.
    1920~1925년 사이 동아일보 지국장 경력자들의 본사 주도 문화운동 참여에 대해서는, 물산장려운동에 21명, 민립대학설립운동에 64명이 참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20~1925년 사이 확인되는 동아일보 지국장 경력자가 223명이었음을 고려한다면, 상대적으로 소수 인원만이 본사 주도 문화운동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track the expansion of Dong-A Ilbo(東亞日報)’s distribution network and the distribution process from 1920 to 1925, and clarify how many Dong-A Ilbo(東亞日報)’s branch managers(支局長) in this period participated in the Culture Movement(文化運動), led by the head office.
    Since its founding on April 1, 1920, Dong-A Ilbo(東亞日報) has made efforts to secure a distribution network in the regions.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network of Dong-A Ilbo(東亞日報), which had only 25 branches(支局) at the time of its founding, expanded to 124 branches and 182 sub-branches(分局) by the end of 1925. Due to high illiteracy and poverty, the subscription rate of the Dong-A Ilbo(東亞日報) in 1925 was less than 1%. However, in colonial Joseon at that time, all villagers read the newspaper together, and literacy read a newspaper for illiterate existed as a daily form of reading. Since the Dong-A Ilbo(東亞日報) headquarters set up a distribution network across the country, these scenes were not limited to a few regions, but could be seen across the country.
    The Dong-A Ilbo(東亞日報) printed in Gyeongseong(京城) was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under the system of the head office(本社) → branch(支局) → sub-branch(分局). The branch manager(支局長) was responsible for the distribution of the newspaper in their respective regions and branch offices. Subscribers of the Dong-A Ilbo, who lived in areas with good transportation, were able to receive newspapers of the day. However, subscribers of Dong-A Ilbo(東亞日報) in areas where railroads were not installed and located at the end of distribution, such as Yeongju(榮州) in 1921, or in island areas, such as Jeju Island(濟州島) in 1925, could not receive the newspaper published on the same day. Subscribers of the Dong-A Ilbo living in remote areas had a large gap between the date of receipt of the newspaper and the date of publication of the newspaper.
    Between 1920 and 1925, 21 of the branch managers of the Dong-A Ilbo(東亞日報) participated in the Korean Production Movement(物産奬勵運動), and 64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o Establish a People’s University(民立大學設立運動). Considering that 223 branch managers of the Dong-A Ilbo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udy period, it can be seen that relatively few people participated in the Culture Movement(文化運動) led by the head off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