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적 생태철학의 모색을 위한 동서양 자연관 고찰 (A Study on the Eastern and Western View of Nature for Developing Traditional Eco-philosophy in Korea)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09.12
11P 미리보기
한국적 생태철학의 모색을 위한 동서양 자연관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7권 / 4호 / 40 ~ 50페이지
    · 저자명 : 김준범, 구본학

    초록

    본 연구를 통해 우리의 전통적인 자연관이 자연을 인간과 독립된 대상으로 받아들인 것이며, 고대의 자연숭배 이후, 신선사상, 풍류도 등의 고유사상이, 이규보, 김시습, 서경덕, 홍대용 등의 신유학자 및 조선 후기 실학자들에게 전승되어 만물일류(萬物一類), 생생지리(生生之理), 생극(生克), 생화(生化) 등의 우리 민족 고유의 독특한 생태주의적 사유로 계승되었고, 이는 현대 생태철학의 전체주의, 생태중심주의는 물론 폴 테일러의 자연에의 존경, 제임스 러블록의 가이아 이론 등 현대의 생태주의적 사상을 시대에 앞서 포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구의 각 시대별 자연관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생태 철학적 비판으로부터 새로운 생태철학의 명제를 유추하여 우리 전통자연관의 생태철학적 가치를 검증하고 이를 우리의 전통조경 기법 및 사례에서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우리 고유의 생태철학이 계몽시기의 기계론적 사고 및 칸트 등의 유기체적 자연관 이후 인간 중심의 사유가 뿌리 깊게 계속되고 있는 서구의 생태철학에 대한 새로운 생태철학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늘 현대적 생태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우리는 우리의 전통적 역사와 문화속에 숨쉬어온 한국적인 전통생태철학이 단절됨이 없이 우리 고유의 생태철학의 근본교의로 재정립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이를 연구 계승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scertained that Korean traditional view of nature regards nature as the independent object and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fter ancient naturalism like SinSunSaSang (idea of fairly land, 神仙思想), PungRyudo had been handed down to neo-Confucianist and practical scientists in late Joseon dynasty like Lee GyuBo, Kim Siseub, Seo Gyeongdug, Hong Daeyong, and flourished with the thoughts of ManMulIlRyu (萬物一類), SaengSangJiRi (生生之理), SangGeuk (生克) and SaengWha (生化). Idea of those, ahead of the times, also comprises Holism as well as Eco-centrism and awe-inspiring eco-philosophy like Paul W. Taylor's "Respect for Nature", James E. Lovelock's GAIA theory etc.
    And this paper also elaborates Western views of nature representing every age and analogizes propositions from various comment and critiques brought from contemporary eco-philosophers on them. This is to uncover that eco-philosophical worth of Korean traditional views of nature, and apply them on empirical review on techniques and cases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ing. This research puts forward and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Korean traditional eco-philosophy can be attained as alternative idea on Western eco-philosophy that seems to have innate anthropocentricism from mechanistic thinking and organismic view of nature from Kant in illuminism period. We confronting and having to resolve ecological crisis should continue to elaborate Korean traditional eco-philosophy that has been inherent and lasted through our history and culture not to be disappeared but firmly to be reestablished and inherited as fundamental doctrine of our eco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