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무신도·점복화의 동아시아적 공감과 독자성 (Uniqueness and the Shared Value of Korean Paintings of Shamanic Deities and Divination in the Context of East Asia)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6.03
43P 미리보기
한국 무신도·점복화의 동아시아적 공감과 독자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62호 / 189 ~ 231페이지
    · 저자명 : 강은해

    초록

    한국 무속의 신적 표상인 무신도는 동아시아의 신앙체계와 소통하면서 스스로의 독자성을 구현하였다. 한국 무속은 유불도 종교 이전 연원이 깊은 우리의 신앙체계이다. 따라서 무속의 제의과정에서 신의 얼굴을 보고 그를 불러내어 같은 기를 감응하는 무신도의 연원 또한 오래다. 그 상징적 역사는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무신도의 위상은 근대이행기 민화의 아류로 취급되고 있다.
    오늘날 굿판의 현장에서 무신도가 풍성한 곳은 황해도 굿을 중심으로 한 서울과 경기 이북지역이다. 이 지역이 무신도의 영험을 필요로 하는 강신무들의 분포지역이기 때문이다. 무신도는 계속 축적되지 않고 사제자 당대에서 활용하고 소각된다. 따라서 오랜 역사에 비해 남겨진 그림이 많지 않아 종교화로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근대이행기 동아시아 서화書畫의 소통은 직간접적으로 각기 나라의 그림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소설·희곡작품에 들어간 그림삽화는 한·중·일·베트남 4국 신앙화의 폭을 확장시켰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과정을 돌아보고 한국 무신도에 나타난 동아시아적 공감과 독자성을 조명하였다.
    또한 현전하는 당사주唐四柱책 등 점복·주술과 밀접한 그림들을 묶어 점복화占卜畵라는 갈래개념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점복화는 인간이 해석하는 하늘의 뜻이라는 점에서 신령의 세계에 접하고 있는 무신도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 무신도와 점복화가 근대이행기 민화의 산물이라는 한국 회화사繪畵史의 무심함과는 반대로 오히려 민화의 토양이 된 흔적들을 무신도와 점복화의 실상을 통해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Musindo (paintings of shamanic deities),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sacred world and divination, has established unique features while retaining close connections with the belief systems of East Asia. In the beginning, the shaman culture consisted of indigenous elements of Korean culture before the arrival of such religious philosophies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practice of shaman rituals, in which a shaman invokes, observes, and communicates with the spirits, often included paintings of traditional shamanic deities. However, such images are currently treated as an inferior form of folk art amidst the threatening din of modernization.
    Shaman rituals are still popular and abundant, particularly in the regions centering on Hwanghae province, including Seoul and the northern province of Kyŏnggi. These regions are widely recognized for the popularity of kangsinmu (possessed shaman), who are designated by the spirits to enter the calling, as opposed to hereditary shaman. The artistic images of deities used in shaman rituals are considered important but are usually burned after the rituals, which poses a challenge to the preservation of shaman paintings and their recommendation as a form of religious art.
    As art transitions through time, the traditional art and paintings of East Asian countries have come to vigorously interact with those of the modern world. The images and illustrations embedded in both fictional and dramatic literary works reveal a degree of reflection and cultural interaction among Korea, China, Japan, and Vietnam. The communicative channels and changing dynamics among these cultures are the main subject of this article, which aims to characterize Korean shaman paintings in terms of a common ground of East Asian traditions and to explore their uniqueness in Korea. In this article, the four pillar books inherited from Tang China will also be illuminated in relation to the birth of a new genre, chŏmbokhwa (divination paintings), which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onveying messages from heaven and allowing humans to interpret them. The study of paintings of shamanic deities and divination, previously considered a sub-genre of folk painting in Korean art history, therefore shows that these works are not byproducts of early modern art, but influential folk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