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북 동부지역 가야 고분의 위세품과 그 위상 (Items that reflect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buried deceased, excavated from Gaya old tombs in the Jeolla Bukdo provinc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8.06
20P 미리보기
전북 동부지역 가야 고분의 위세품과 그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59권 / 26 ~ 45페이지
    · 저자명 : 김재홍

    초록

    이 글은 장수, 남원, 진안, 임실 등 전라북도 동부지역에 분포하는 가야고분에서 출토된 위세품을 대상으로 전북동부지역 가야의 위상과 그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북 동부지역 가야의 대표적인 위세품으로는 통형기대 등의 토기, 금귀걸이 등의 금공품, 무기 및 무구, 마구, 철제모형농공구, 외래계 문물 등을 들 수 있다. 위세품의 형태와 제작 기술이 대가야권역의 중심지인 고령 대가야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공통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의 고배, 기대 등 토기문화 중에는 대가야토기를 모방한 것도 있으며, 소가야양식의 특징을 보이는 것도 존재하여 시기에 따라 정치적 이해관계를 달리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지역의 정치체는 독자적 문화를 기반으로 가야문화를 수용하였으며, 기문(국)으로 불리웠다. 장수지역의 가야를 상기문, 운봉고원의 가야를 하기문으로 지칭하였으며, 중기문은 남원 서부 및 임실지역으로 비정할 수 있다. 기문은 대가야권역에 속하는 정치체였으나, 지역국가명인 ‘기문’을 사용할 정도로 자율성을 가지고 있었다. 대가야는고령의 반파국과 전북 동부지역의 기문국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정치체였다. 이 지역과 대가야를 하나로 묶는 요소는 대가야권 내 소국 한기(旱岐)가 공유한 철제모형농공구와 통형기대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대가야 왕은 권역 내소국 한기층과 함께 농경 및 매장의례를 통해 대가야의 통합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
    대가야권역에서 전북 동부지역의 가야가 차지하는 위상은 대외교역창구로서의 지위이다. 이 지역의 고분에서는남조와 관련된 천계호, 쇠자루솥 등이 확인되었으며, 백제와의 교류를 보여주는 금동신발 등이 출토되었다. 대가야왕이 기문국에게 요구하였던 역할은 대외교류창구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so-called ‘authoritative items’ excavated from Gaya tombs in the eastern part of the Jeolla Buk-do(全羅北道) province (especially in areas like Jangsu, Namweon, Jinan, Imshil, etc.), that reflect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deceased individuals buried in those tombs. The intention of this author is to determine the status and nature of the Gaya society or culture in general that must have prevailed throughout the Jeon-Buk(全北) region.
    The most representative relic of this sort found from the Jeon-Buk region’s Gaya tombs are earthenware glasses(“Tong’hyeong-gidae”) or golden accessories (like earrings), as well as weapons, armors, harnesses, iron-based copies of agricultural utensils, and other items which seem foreign in origin. The overall forms and techniques apparently used in creating them seem to share similar facets that are also displayed in those found from the Dae-Gaya tombs of the Go’ryeong area, which also happened to be the heart of the Dae-Gaya territory. And while some of the earthenware found here such as Gobae and Gidae were seemingly modeled after their counterparts in Dae-Gaya, there are relics that feature characteristics of the So-Gaya ones as well, so we can see various political interests indeed dictated transmission of culture to take various directions.
    The political entity in this region, while nurturing their own unique culture, embraced Gaya culture as well. This entity was called as Gimun(Gimun states), which was originally part of the Dae-Gaya realm but maintained autonomous control of itself enough to assume its own local title ‘Gimun.’ The king of Dae-Gaya, which was based upon the Banpa-guk state of Goryeong and the Gimun-guk state of Jeon-Buk, tried to maintain inner unity of Dae-Gaya by allying itself with one of the small states that existed inside Dae-Gaya, named Han’gi’cheung, through 전북 동부지역 가야 고분의 위세품과 그 위상 · 45 agricultural and burial rituals.
    Throughout the Dae-Gaya realm, Gaya in the Jeon-Buk region seems to have served as a portal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could exchange things and information. From the tombs in this region, foreign items such as Cheon’gye-ho and iron caldron(Jaru-sot) which were well related to the Southern(“Namjo”) dynasties were found, and golden/bronze shoes that display traces of the Gaya people’s exchanges with Baekje were also unearthed. It seems like the role the king of Dae-Gaya asked Gimun-guk to serve was to be a channel for foreign ex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