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문인의 지리산 청학동 유람과 공간 인식 (A Study on Excursions to Cheonghakdong of Mt. Jiri and Its Spatial Understanding among the Literary Figures of Jose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6.10
22P 미리보기
조선조 문인의 지리산 청학동 유람과 공간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36호 / 124 ~ 145페이지
    · 저자명 : 강정화

    초록

    본고는 지리산유람록을 통해 ‘지리산 청학동’에 투영된 조선조 문인의 공간 인식을살펴보았다. 본고에서의 지리산 청학동은 경상남도 하동군 쌍계사 뒤쪽 불일폭포 일대를 일컫는다. 조선시대 지리산 유람은 최고봉인 천왕봉과 청학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유람자의 대부분이 남명학파 문인이었다. 이는 조선시대 수백 년 간 청학동에투영된 공간 인식은 결국 남명학파 문인의 청학동에 대한 공간 이해라는 의미이기도하다.
    지리산 청학동에 대한 인식은 고려시대 李仁老를 비롯해 앞 시대 선현이 청학동으로 인식했던 공간 의미를 반복해서 확인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진란 이후이곳으로 발길이 잦았고, 이는 조선후기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대개 청학동 공간보다는 청학동의 신선으로 전해지는 崔致遠에 대한 관심이 유람자를 이곳으로 이끌었다. 조선조 문인들은 최치원에 투영된 神仙的 이미지를 통해 잠시나마 이곳에서 현실의 고뇌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그중 조선시대 실천적 지식인이었던 曺植이 이곳으로 유람하여 보여준 공간 인식은독특하였다. 초월의 공간 청학동에서 도리어 현실적 지식인의 自意識을 끊임없이 되새기는 행위는 이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다. 사실 동일한 장소를찾아 왔음에도 이상향이 아닌 그 속에서 현실적 자의식을 강조한 남명의 공간 인식은 지극히 개인적인 성향이었다. 그러나 이후 남명학파 후학에 이르러서는 남명의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청학동에 새로운 공간 이해가 형성되었다. 특히 급변기인 19-20 세기 남명학파 문인들은 위기의 시대에 지역의 師表인 남명을 갈구하게 되었고, 그의정신과 가르침을 扶持하고 계승하려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백 년 간남명의 가르침이 전승되어 온 청학동도 부상하게 되었다. 결국 지리산 청학동은 이들에 의해 최치원의 공간에 조식의 공간적 의미가 더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literary figures’ space perceptions in Joseon as they were reflected in “Cheonghakdong of Mt. Jiri” by looking into the excursion records of the mountain. In the present study, Cheonghakdong of Mt.
    Jiri refers to the area around Bul-il Falls behind the Ssanggye Buddhist Temple in Hadong-gun, Gyeongsangnam Province. In Joseon, excursions to Mt. Jiri mainly targeted its highest peak Cheonwangbong and Cheonghakdong with more than 80% of visitors being the literary figures in the line of Nammyeong School. In other words, the space perceptions that had been reflected in Cheonghakdong for hundreds of years represent the spatial understanding of literary figures in the line of Nammyeong School for Cheonghakdong.
    Cheonghakdong of Mt. Jiri was manifested in a process of checking the spatial meanings of Cheonghakdong repeatedly among the previous sages including Lee In-ro. Visits to the place had never stopped since Imjinwaeran and continued into the latter half of Joseon. In most cases, it was the interest in Cheonghakdong of Choi Chi-won, who was called the Taoist Hermit of Cheonghakdong, that attracted visitors to the place rather than the space itself.
    The literary figures of Joseon wanted to escape from the agony of reality even for a while through the Taoist hermit image reflected in Choi.
    Of those literature figures, Jo Shik, one of practical intellectuals in Joseon, showed his unique space perceptions after his excursion to the place. He 145 조선조 문인의 지리산 청학동 유람과 공간 인식constantly ruminated over the sense of identity of realistic intellectuals at Cheonghakdong, a transcendent space, thus granting new meanings to the space. Even though he visited the same place as other literary figures, he put an emphasis on the realistic sense of identity in the space that was not his Utopia, which reflects his personal tendency for spatial perceptions. His perceptions led to the formation of new spatial understanding of Cheonghakdong among the later generations of Nammyeong School. In the turbulent times of 19th and 20th century, in particular, the Gangwoo scholars in the line of Nammyeong School longed for Nammyeong Jo Shik, who was the guiding star in the region in a crisis, and tried to preserve and restore his spirit and teaching. In that process, Cheonghakdong, which had inherited his teaching for hundreds of years, made a meteoric rise. In the end, Cheonghakdong of Mt. Jiri was turned from the space of Choi Chi-won to that of Nammyeong Jo Shik through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