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한계와 대응 (Limitations in the Utilization of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as Hubs for Welfare Service Provision and Response to those Limitation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8.11
19P 미리보기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한계와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정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정부연구 / 22권 / 3호 / 533 ~ 551페이지
    · 저자명 : 허철행

    초록

    정부는 복지수요에 대처하기 위하여 읍면동을 복지서비스의 허브로 운용하는 복지허브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복지사각지대의 해소와 앉아서 복지서비스 신청접수만 받는 것이 아니라 복지수요자들을 찾아가는 복지 내지 맞춤형 복지를 통하여 복지체감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추진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중앙정부에서 추진하는 중앙집권적 모델이기 때문에 지역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둘째, 인력과 예산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업무추진이 되지 않고 있다. 셋째, 인력의 전문성도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사례관리 담당 직원의 전문성 여부에 따라서 성과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민관협력 체제를 위한 기구를 만들었지만 대단히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거버너스적인 운영이 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본 연구를 통한 표적집단 심층면담(FGI)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읍면동 복지허브화 정책의 혁신을 위해서는 첫째, 지방분권형 복지체제를 고려해야 한다. 중앙과 지방정부의 역할분담론에 입각하여 효율적 업무 배분을 해야 한다.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의 상당부분은 지방정부 주도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개편되어야 한다. 분권형 복지체제를 추진하기 위해서 사회복지 공공부문의 인력과 예산의 분권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산과 인력의 자율적 운용없이 지역 맞춤형 복지체제 구축은 진행되기 어렵다. 둘째, 읍면동의 복지허브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읍면동이 지역복지의 중심지 내지 지역복지 통합 컨트롤센터 역할을 하는 기구로 혁신되어야 한다. 지역사회복지 부문의 네트워크 중심지가 되어야 한다. 이에 걸맞는 조직력과 기획력 등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읍면동 복지허브는 거버넌스로 운영되는 방향으로 혁신되어야 한다.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실질적인 거버넌스 기능을 하는 기구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지방분권형 국가를 이룩하기 위해서 시민참여형 읍면동 사회복지허브체제의 구축은 적극 추진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In order to better cope with welfare demands, the government is driving a policy under which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like eup, myeon and dong are taken as hubs for welfare service provision. That policy aims to have welfare services more actually and effectively provided to people having welfare demand by reaching out for them with customized services, preventing any area from being kept out of welfare and having welfare services go well beyond the receipt of their application.
    By the way, it is pointed out that the policy has some problems to be driven with. First, the policy is a centralized model l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so that it is unlikely to comply with local characteristics. Second, insufficient staffing and budgets are blocking the policy from being better implemented. Third, policy staffs are, rather, less specialized. For instance, how much case managers are specialized makes a big difference to the achievements of the policy. Fourth, the private-official cooperative organization, which has been set up to support the policy, is currently being operated not based on governance, but with lots of red tapes. All of these limitations have been discovered by focus group interviews as well that were made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suggest the need to reform in the following ways the policy that takes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as hubs for welfare service provision. First, the policy should be based on decentralized welfare systems. Here, the decentralization includes an efficient division of roles and business between the central and the local government, provided projects for the use of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as welfare service hubs are l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a decentralized control of staffing and budgets in the field of public social welfare. But for such autonomous management of staffing and budgets, it’s not easy to build up locally customized welfare systems. Second,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should intensify their function as a hub for welfare service provision. For the intensification, the districts need to renovate themselves into a local welfare center, center for integrative local welfare control or a strongpoint for local welfare networks, any of which is adequately supported by th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 and planning. Third, the local hubs for welfare service provision should be innovated to be operated based on governance. In association, the local social security conference that has been just stereotypical needs to be truly developed into a governance organization.
    In conclusion, making this nation a locally decentralized entity requires positive actions to utilize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like eup, myeon and dong as social welfare hu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정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