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희곡 <웰컴 투 동막골>의 텍스트 전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ext's Strategy Of Drama Welcome To DongmakGol)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1.10
41P 미리보기
희곡 &lt;웰컴 투 동막골&gt;의 텍스트 전략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34호 / 325 ~ 365페이지
    · 저자명 : 서미진

    초록

    이 논문은 희곡 <웰컴 투 동막골>의 텍스트 전략에 대한 연구로서 영화로의 재매개를 통해 변화된 양식적 특성과 유토피아 의식을 논하기 위한 예비적 성격을 띠고 있다. 지금까지 영화 <웰컴 투 동막골>에 대한 논의는 많았으나 희곡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희곡 <웰컴 투 동막골>의 양식적 특성과 자기반영성, 성격구축과 희극성 창출의 전략 그리고 동막골의 정체성과 유토피아 의식의 층위를 통해 텍스트 전략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텍스트의 가장 핵심 전략인 자기반영성은 서사극 양식에 대한 장진 나름의 전유와 메타극의 부분 첨가를 통해 구축된다. 그리고 극적 서사, 곧 이야기의 생성 방식에서는 경험의 서사(동구의 서사)와 상상의 서사(작가의 서사)를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 동시대의 스토리텔링 방식인 팩션(faction)화에 대한 자의식을 드러내면서 자기응시적인 자기반영성을 구현한다. 특히 극적 분기점이 되는 6장 후반부에서는 양식의 분화와 재통합을 통해 이야기의 외형적인 선형성을 차단함과 동시에 경험에서 상상의 서사로의 이동이라는 이야기의 자질변화를 통해 이야기의 내적 선형성을 차단하면서 반환영주의의 자기반영성을 최고조에 다다르게 한다. 요컨대 희곡 <웰컴 투 동막골>은 환영주의와 접점한 채 반환영주의 양식의 속성을 텍스트의 주요한 연행 전략으로 취하고 있다.
    다음 성격구축과 희극성 창출의 전략이다. 성격구축은 브레히트의 사회적 제스처인 게스투스(Gestus),와 희극적 성격결함인 하마르테마(Hamartema)를 통해 이뤄진다. 군인들과 동막골 주민들의 대치 상황, 인민군, 국군 사이의 대치상황에서 선택된 동작으로서의 게스투스는 대치상황에 대하는 자세(태도)의 차이를 보여주면서 서로 다른 독특한 행동방식에 대한 기제가 된다. 한편, 과잉된 자유로운 성정, 천진난만한 동심, 모성 등의 상징적 코드를 부여받고 있는 이연, 동구, 노모 등, 세 등장인물은 희극적 결함인 하마르테마에 의해 성격이 구축되면서 극의 긴장을 이완시키는 희극성을 창출함과 동시에 극적 역할을 통해 플롯을 추진하는 기능적 인물들이 된다. 그리고 희곡 <웰컴 투 동막골>은 탈문맥화 전략, 위반의 전략, 언어 코믹에 의한 전략을 통해 텍스트의 희극성을 창출한다.
    마지막으로 ‘동막골’은 공간의 메타포로서 ‘쉼터’로서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오지라는 물리적, 지리적 특성과 함께 사람에 대한 환대(welcome)와 따뜻한 정이 흐르는 옛 부락의 정서를 지닌 동막골은 원형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상기시키며 ‘쉼터’로서의 정신적 공간지표가 된다. 장진은 한국전쟁과 민중의 모습을 재구성한 희곡 <웰컴 투 동막골>에서 동막골이라는 공간에 ‘쉼터’로서의 표상을 부여하고 ‘환대(welcome)’라는 기의를 중첩시킴으로써 유사 유토피아 의식을 생성시키고 있다.. 요컨대 희곡 <웰컴 투 동막골>이 생성하고 있는 유토피아 의식은 이상세계의 창조라는 희망의 원리로서의 이상향에 대한 충동이 아닌 원형적인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쉼터라는 공간 표상과 만나면서 증폭된 의식으로서 유사 유토피아 의식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losely the text's strategies of the drama Welcome to Dongmakgol. The Drama with a hypertext availability Welcome to Dongmakgol has made a popular success through the transition to movies. So, this study is projected for comparison with the film Welcome to Dongmakgol. Therefore three aspects of the text's strategy will be discussed.
    First, arts feature of anti-illusionism as of self-reflection is to have shed new light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Second, this study focus on the strategy of building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creation of comedy. Finally, the shelter's metaphor of dongmakgol and a sense of utopia is to identify The drama Welcome to Dongmakgol build up self-reflection by the appropriation of Brecht's epic theater and insertion of meta-theatre stylistically. In addition, the dramatic narrative has been generated by method of faction Which is the contemporary tendential storytelling of historical story. In other words, the story of father(Dong-gu) and the story of the epic narrator(the artist) is combined through self-contemplation.
    The following is the text's strategy of creation of comedy. the gestus which is social attitude and hamartema that is characteristic flaws are primary method in creation of comedy through character cultivation. and then the deviation from context which is beyond the expectations horizon of the audience is the text's strategy of creation of comedy. a strategy that violates the norms generated the comedy also.
    Finally, dongmakgol closed and isolated by mountains acquires symbol of shelter that retain warm hospitality and family atmosphere such as take care of home ventilation in the archetypal home. Therefore the amplification of these archetypal home consciousness creates a sense of the similar utopia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