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혁신학교 학부모 동아리 참여 의의와 제약 (Implications and Constraints in Parent Club Participation in Innovation School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8.03
42P 미리보기
혁신학교 학부모 동아리 참여 의의와 제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8권 / 1호 / 99 ~ 140페이지
    · 저자명 : 최윤진

    초록

    본 연구는 교육주체로서 학부모의 지위와 역할을 재조명하기 위해 학부모 동아리 참여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경기도 부천시 소재 혁신초등학교 세 곳에서 학부모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부모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학부모 동아리 참여 경험의 의미는 두 개의 상위범주로 분석하였다. 첫째, 학부모 동아리 참여의 긍정적 의의는 교육주체로 거듭나기 과정으로 확인되었다. 학부모들은 교사와의 관계에서 후원자와 동반자로서 파트너십을 형성하였고 학생들의 개별적 특성과 관계를 잘 이해할 수 있었으며 학교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소속감과 유대감이 강화되었다. 또한 학부모들은 아이들과 함께 교육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고 동아리 활동을 자기계발의 기회로 삼아 제2의 삶을 설계하였다. 학부모들은 맹목적 학력주의와 내 자녀 중심의 교육관을 성찰하였고 자녀들에게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모델이 되었다. 둘째, 학부모 동아리 참여와 발전을 저해하는 현실적 제약 요인들이 발견되었다. 학교 제도적 차원에서 혁신교사의 전근, 학교 예산의 감소 그리고 학교활동 참여에 대한 과도한 요구는 학부모 동아리의 자생적 발전을 위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주체적 차원에서 맞벌이 증가에 따른 학부모 참여율 감소는 소수 학부모들의 소진을 초래하였다. ‘활동가학부모’와 ‘일반학부모’의 참여 수준과 역량의 차이 때문에 학부모들 간에 괴리감과 단절이 심화되고 학부모들의 다양한 처지와 입장이 배려되지 않는 상황에서 동아리의 폐쇄적 파벌화 문제도 우려되었다. 또한 비참여/비협조적인 학부모들이 학교참여 행태를 ‘치맛바람’으로 바라보는 왜곡된 시선과 자기 자녀 중심의 틀에 갇힌 부모들의 소극적 참여가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주체로 거듭나는 학부모의 위상과 역할을 논의하고 학부모 학교참여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간략하게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parent club participation in order to shed new lights on the status and role of parents as educational subjec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parents who participated in parent clubs in Innovation Schools at an elementary level in Bucheon, Gyeonggi-do. The significance of parent club participation was revealed as two aspects.
    As a positive aspect, parent club participation empowered parents as meaningful educational subjects in their schools. Through parent club activities, they constructed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n which they acted as supporters and partners for better education. As educational subjects, they were not able only to underst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students, and also strengthened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connectedness as a member of a school community. In addition, they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and then designed their future lives by obtaining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capabilities related to education. Parent club activities also made parents reflected blind scholasticism and selfishness in education, and endeavor to show modeled behaviors for their children.
    However, several constraints on parent club participation were also discovered by parents’interviews. On the school level, teacher transfer, school budget reduction, and excessive pressure for parents to participate in too many school activities threatened the self-development of parent club in Innovation schools. On the parent level, parental burnouts arose because of the increase of a double-income family and the following decrease of parental participation rates in school activities. It was also concerned about a closed factionalization caused by the increasing gap in capabilitie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rates between activist parents and other parents. Finally, It was pointed out a biased perspective on parental involvement in school activities as a so-called ‘skirt wind’ and the passive attitudes from parents who were confined by their own child-centered framework.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ose positivize implications and practical constraints, the ideal status and role of parents as educational subject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vitalizing parental participation in parent club and school activities we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