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세 부산의 역사와 “만덕동 사지” (The History of Medieval Busan and “the Mandeok-dong Temple Sit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2.02
39P 미리보기
중세 부산의 역사와 “만덕동 사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 수록지 정보 : 항도부산 / 43호 / 107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종봉

    초록

    본고는 만덕동 사지의 공간적 장소와 출토 유물 등을 통해 검토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덕동 사지는 고려에서 조선초기까지 東萊縣․郡과 梁州ㆍ梁山郡의 속현이었던 東平縣의 공간적 범위 내에 있었다. 동평현은 仙岳寺鐘銘을 통해 戶長과 諸長吏 등의 향리세력이 존재하였고, 이들의 지배를 받았다. 동평현에는 동평이씨 등의 土姓이 존재하였고, 이들 세력은 낙동강을 기반으로 경제적 부를 축적하였을 것이다. 동평현의 지배세력은 경제적 부를 바탕으로 덕천동 고분군을 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만덕동 사지와 선악사 등의 주요 단월로 존재하였다.
    둘째, 만덕동 사지는 국장생, 당간지주, 3차의 발굴에서 드러난 금당, 사지 주위의 유물 산포지 등을 고려할 때 상당한 범위의 사역을 가지고 있었다. 만덕동 사지의 사명은 ‘祇毗寺’의 기와 명문과 <金山寺香完銘>에 ‘祇毗寺’의 기록 , 그리고 부산ㆍ경남지역에서 최근 발굴된 사지의 명문과 문헌에 기록된 사명이 일치하는 사례 등을 고려할 때 ‘기비사’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만덕동 사지는 3차에 걸친 발굴에서 금당지의 규모, 그리고 고급의 상감청자, 치미, 잡상 등의 중요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이를 고려할 때 高麗 12ㆍ13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최고의 사세를 유지하였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rough a place of the Mandeok-dong temple site and excavated objects,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rom the Gorye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Mandeok-dong temple site was within the extent of Dongpyeong-hyeon(東平縣) where was Dongrae-hyeon․gun(東萊縣․郡) and Yangju·Yangsan-gun`s Sokhyeon(屬縣). In the Dongpyeong-hyeon, according to Seonaksa-Jongmyeong(鐘銘), there were Hyang-Ri(鄕吏) group -Hojang(戶長), Jejangri(諸長吏) and others-, it was governed under them. And also an indigenous family name of Dongpyeong Lee Clan existed, this power would have accumulated economic wealth stand on the basis of Nakdonggang River. Based on this economic wealth, Dongpyeong-hyeon`s ruling power not only built the Deokcheon-dong Ancient Tombs but also existed as the Mandeok-dong temple site and Seonaksa temple`s major Danwol(檀越).
    Secondly, contemplating that Gukjangsaeng(長生標), Danggangiju(幢竿支柱), Geumdang(金堂)(was revealed in three-time excavation), an area of scattered antiquities around temple site, the Mandeok-dong temple site had a considerable range of temple domain, Considering that the name of the temple site in Mandeok-dong coincides with the inscriptions of the roof tiles of ‘Gibisa’, the Geumsansahyangwanmyeong, and the inscriptions and documents of the recently excavated temple site in Busan and Gyeongnam, it can be seen that the temple`s name is ‘Gibisa’.
    Thirdly, the scale of the Geumdang site was found in the three-time excavation of the Mandeok-dong temple site, and also important relics such as high-quality inlaid celadon porcelain, Chimi(鴟尾), Jabsang(雜像). Considering that, it would have maintained the supreme influence in the period around the 12th and 13th centuries of the Goryeo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항도부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