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 송현동(松峴洞) 일원 역사문화경관의 통시적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Songhyeon-dong, Seoul)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1.12
14P 미리보기
서울 송현동(松峴洞) 일원 역사문화경관의 통시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9권 / 4호 / 85 ~ 98페이지
    · 저자명 : 강재웅, 소현수

    초록

    본 연구는 경복궁 옆 송현동 일원에 문화공원을 조성하기로 계획된 사실을 배경으로 ‘송현(松峴)’이라는 장소가 인식되었던 조선초기부터 현재까지의 관련 문헌과 도면자료를 분석하여 주요 시기의 역사문화경관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송현동 일원의 경관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주요 필지의 소유주를 파악하고 토지이용과 경관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1392년 조선의 건국 이래 송현은 풍수지리사상에 의하여 ‘경복궁의 내청룡(內靑龍)’으로 이해됨에 따라 국가에 의해 ‘소나무숲’이관리되었다. 1410년 태종이 실시한 전제 개혁과 도시계획의 영향으로 국가 창고 ‘분감(分監)’이 세워지고 영세한 과일가게 ‘우전(隅廛)’이조성되었다. 19세기 이후에는 상류층 가옥으로서 ‘가성각(嘉聲閣)’, ‘창녕위궁(昌寧尉宮)’, ‘벽수거사정(碧樹居士亭)’이 존재하였다.
    1919년 조선식산은행이 부지를 매입하면서 대규모 관사단지인 ‘식은사택(殖銀舍宅)’이 조성되었으며, 이는 1948년 미국으로 이양되어‘미국대사관 직원숙소’로 사용되었다.
    둘째, 도출한 시기별 경관구성요소의 존속기간과 함께 위치를 비정하여 물리적 실체를 파악함으로써 시대별 사회상과 결부된입지관(立地觀)의 변천을 확인하였다. 풍수지리적 세계관 속에서 궁궐의 왼편을 비보(裨補)하는 ‘내청룡’으로 인식된 소나무숲은부지 서쪽 고지대에 있었다. 동시기 동쪽의 평탄한 구역은 각종 정부시설과 시장에 인접한 길목에 다양한 계층이 모여드는 ‘여항(閭巷)’으로여겨졌다. 19세기 이후 소나무숲에는 경화세족(京華世族)의 원림이 들어서 ‘성시산림(城市山林)’으로 이해되었다. 오랫동안 도심속 대형 필지로 존재하였던 송현동 일원은 20세기 일제에 의해 ‘이상적 건강지(理想的 健康地)’라는 관념 아래 개발되었다. 이로써조선시대 전통적 복거관(卜居觀)을 고수해 온 송현동 일원의 장소성이 단절된 것이다.

    영어초록

    In accordance with planning to construct culture park on Songhyeon-dong (district) near Gyeongbokgung Palace, This study analyzed literature and drawing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oday for the district, known as ‘Songhyeon (pine hill)’ to identify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during essential tim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owners of significant lots were identified, and land use and landscape components were extracted for a diachronic examination of the landscape of the whole area of Songhyeon-dong. Songhyeon district had been regarded as the ‘Inner Blue Dragon (Spot) of Gyeongbokgung Palace’ in terms of geomancy since the foundation of Joseon in 1392 in that the government created and managed a ‘pine forest’ in the district. A state warehouse called ‘bungam’ was constructed, and small fruit stores, ‘ujeon,’ opened due to the complete reformation and urban planning led by King Taejong in 1410. From the 19th century, mansions of the upper class, such as ‘Gaseonggak’, ‘Changnyeongwuigung’ and ‘Byeoksugeosajeong’ were in the district. A prominent official residential complex called ‘Sigeun Sataek’ was constructed in 1919 after Chosen Siksan Bank purchased the site. Later, it was transferred to America in 1948 and used as the ‘US Embassy Staff Quarters’.
    Second, the changes in the site view, associated with the aspects of society by the times, were examined by estimating the location and the time the landscape components lasted in each period extracted and identifying the physical entity. The pine forest, regarded as the ‘Inner Blue Dragon’ that guards the left side of the palace within the geomantic world view, was located in the highlands in the west of the site. In the same period, the flat area in the east was regarded as the ‘commoner’s district’, the streets adjacent to various government facilities and the market, packed with people from different walks of life. From the 19th century, the gardens of the aristocrats of the capital city were created in the pine forest, turning the place into the forest in the middle of the city. The whole area of Songhyeon-dong, which existed as a large lot in the city center for a long time, was developed by Japanese imperialists in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concept of ‘Ideal Healthy Land,’ which interrupted the placeness of Songhyeon-dong that had adhered to the traditional geomatic view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