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송동화집』의 이본과 누락된 「홍길동」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Honggildong(洪吉童) among the different versions of Haesongdonghwajip(海松童話集))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4.03
17P 미리보기
『해송동화집』의 이본과 누락된 「홍길동」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북아 문화연구 / 1권 / 38호 / 179 ~ 195페이지
    · 저자명 : 염희경

    초록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esongdonghwajip(海松童話集) is evaluated as ‘the first Korean collection of original fairy tales’.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paper on this collection. As a prior work to research Haesongdonghwajip in earnest, this study is to correct truths which have been wrongly reported by a damage of materials transmitted to this day. As far as is confirmed, there are four existing Haesongdonghwajip, and two other different versions of it. In Haesongdonghwajip, twelve stories are included, but only eleven stories were reported to be included due to the omission of Honggildong(洪吉童).
    In this paper Honggildong in Sinsonyun(新少年)(children’s magazine) and the one in Haesongdonghwajip in which it was recollected after changing some part of its story were discovered and compared. Honggildong, an adapted story by Ma Hae-song, was produced pretty untimely in that it became a fairy tale from a classic novel. It is also worthy of note that it was to change the story while plotting out a sequel beyond adapting from a classic novel. Ma Hae-song could not complete the sequel, but he revealed contemporary ideology prevalent with socialism in the last chapter of Honggildong. Through empirical study, Honggildong omitted from Haesongdonghwajip was restored and, the adapted story by Ma Hae-song, Honggildong, suggested an important point of matters in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in terms of the author’s ideological foundation and a pedigree of making fairy tales from classic novels.

    영어초록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esongdonghwajip(海松童話集) is evaluated as ‘the first Korean collection of original fairy tales’.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paper on this collection. As a prior work to research Haesongdonghwajip in earnest, this study is to correct truths which have been wrongly reported by a damage of materials transmitted to this day. As far as is confirmed, there are four existing Haesongdonghwajip, and two other different versions of it. In Haesongdonghwajip, twelve stories are included, but only eleven stories were reported to be included due to the omission of Honggildong(洪吉童).
    In this paper Honggildong in Sinsonyun(新少年)(children’s magazine) and the one in Haesongdonghwajip in which it was recollected after changing some part of its story were discovered and compared. Honggildong, an adapted story by Ma Hae-song, was produced pretty untimely in that it became a fairy tale from a classic novel. It is also worthy of note that it was to change the story while plotting out a sequel beyond adapting from a classic novel. Ma Hae-song could not complete the sequel, but he revealed contemporary ideology prevalent with socialism in the last chapter of Honggildong. Through empirical study, Honggildong omitted from Haesongdonghwajip was restored and, the adapted story by Ma Hae-song, Honggildong, suggested an important point of matters in the history of children’s literature in terms of the author’s ideological foundation and a pedigree of making fairy tales from classic no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북아 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