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성부 동촌(東村) 어의동지(於義洞池) 일대의 환경 특성과 장소적 의미 (A Study on Environmental Traits and Significance of Eouidongji Pond(於義洞池) Area in Dongchon(東村), Hanseong-bu(漢城府))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6
14P 미리보기
한성부 동촌(東村) 어의동지(於義洞池) 일대의 환경 특성과 장소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5권 / 2호 / 1 ~ 14페이지
    · 저자명 : 길지혜, 손용훈, 황기원

    초록

    본 연구는 고지도에서 한성부 성내 동쪽인 ‘동촌(東村)’에 표기된 못의 환경 특성과 장소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여러 문헌과 지도 자료를 검토하여 못의 명칭을 정리하였고, 연구에서는 그중 국가 공식기록과 지리적 명칭을 따라 ‘어의동지(於義洞池)’로명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입지 및 환경 특성을 보면 어의동지 일대는 도성 내에서 전원적 정취가 있는 지역이었다. 산자락 계곡부 물이많이 모이는 지대에 있었고, 약 2천 평 정도의 필지 안에서 수위에 따라 못 경계가 변화하였다. 둘째, 조성 배경을 볼 때 어의동지는자연적으로 형성된 못을 국초 도성 내 수체계를 관리하면서 함께 정비한 것으로 보인다. 유수지 역할과 함께 연(蓮) 관련 부산물을진상하는 연지(蓮池)로 운영되었고, 인근에 별궁이 활발히 이용되면서 함께 관리된 것으로 판단한다. 20세기 초 이미 매몰된 상태였고, 연지를 다시 수축하고자 했으나 식민지기 학교 부지로 편입되며 소멸하였다. 셋째, 어의동지는 개인이 완상하거나 멀리서 조망하며자연경관 일부로 감상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동촌에 진입하는 가로 가까이 있는 진입경관이었고, 주변 다른 행락지와 연계해방문하기 좋았다.
    어의동지의 입지 및 환경 특성, 조성 및 소멸 배경과 시대별 운영·관리, 당대의 이용과 경관 감상의 특성을 고찰한 결과, 어의동지는국가적으로는 도성 내 수체계를 보완하면서 국용 연 수확물을 제공할 수 있는 실용적 가치가 높은 못이었다. 또한, 도시환경 차원에서는넓은 면적으로 펼쳐진 수평적 랜드마크이자 효과적인 경계지물이었다. 그리고 한성부 지역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열린 장소였고, 접근성이 높아 공공적 가치도 높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traits and significance of the pond place that appears in historic maps in ‘Dongchon(東村)’, which is the eastern section within the fortress wall of Hanyang. We reviewed various documents and maps to identify the name of the pond, and of those materials we followed the name provided by official national records and geographical titles to designate it ‘Eouidongji Pond(於義洞池).’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first, that from the standpoint of locatio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the area of the Eouidongji Pond was an area that contained a pastoral atmosphere within the city. It was located in an area where the waters flowing from the mountains gathered, and the boundaries of the pond would change based on water levels within a plot of land about 2,000pyeong(app. 6,600㎡) in size. Second, when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its creation background, the Eouidongji Pond seems to have been a naturally occurring pond which was modified when the water system was managed in the city at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In addition to its role as a reservoir, it was operated as a lotus pond(蓮池) to offer lotus(蓮) related by-products. With the nearby detached palace being actively used, it seems the pond was managed at the same time. The pond had already been filled in by the early 20th century, and although there were efforts to reconstruct the pond, it was eventually destroyed as the area was included in the site of a school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rd, the Eouidongji Pond was appreciated in many cases by individuals or admired as part of the natural landscape by viewing it from afar. In addition, it provided entry landscape near the road entering Dongchon, and was a location that was easily visited in connection with other nearby pleasure grounds.
    Through studying the locatio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background of its creation and de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by time period, usage at the time, and characteristics of scenery appreciation of Eouidongji Pond, the Eouidongji Pond was a pond of high practical value to the nation, as it supplemented the water system in the city and was able to provide lotus harvests for the nation. In addition, from a urban environment perspective, it was a lateral landmark with a large area, as well as an effective boundary. It was an open area that the people of the Hanseong-bu could freely use, and it had a high public value due to its ease of acces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