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상으로 운동장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 때의 정서변화: 대뇌반구의 비대칭적 활성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Affective Changes while Running around the Track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Using Motor Imagery: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Asymmetrical Activation of Cerebral Hemisphere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0.05
13P 미리보기
심상으로 운동장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 때의 정서변화: 대뇌반구의 비대칭적 활성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체육학회지 / 59권 / 3호 / 115 ~ 127페이지
    · 저자명 : 권세창, 김진구, 김유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왜 사람들이 운동장을 반시계방향으로 도는가에 대한 궁금증을 풀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참 가자들이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운동심상을 할 때 정서와 EEG 대뇌반구 비대칭의 차이지표를 분석하여 방향 에 따른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피험자는 평균나이는 20.5세의 대학생으로 총 20명(남자 10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피험자를 무작위로 두 그룹인 시계방향(CW)과 반시계방향(CCW)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 다. 실험과제는 1인칭 시점의 운동심상 과제로 모든 피험자에게 1800ms 동안 화면에 나타나는 육상트랙의 곡선 구간을 달리는 심상을 하도록 지시하였다. 뇌파의 주요 측정영역은 전전두영역(Fp1, Fp2), 전두영역(F3, F4), 중 앙영역(C3, C4)이었고, 자료 분석은 측정영역의 알파파에 대한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 과로 전두엽에서 집단 간 유의한 비대칭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W 그룹에서는 좌반구(F3)에 비 해 우반구(F4)의 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CW 그룹에서는 우반구보다 좌반구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운동장을 시계방향으로 달릴 때는 부정적 정서가 그리고 반시계방향으로 달릴 때는 긍정적 정서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운동 수행에 있어 방향성에 따라 정서적 변화 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이러한 정서적 변화들로 인해 방향편향이 결정되어질 수 있음을 신경생리학적으로 알아본 것에 그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ffective changes through EEG asymmetry when subjects run around each curved track, counterclockwise (CCW) and clockwise (CW). A total of 20 (10 females and 10 males; M age=20.5) subjects, all of whom were right-handed, participated in the study. According to different directional conditions, all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ere CCW and CW, and the gender ratio was definitely considered as the same. Using the motor imagery (MI) task, they were instructed to start MI when presented with a dynamic image showing the first person view of running a curved track in either direction for 1800ms. The frontal (Fp2-Fp1, F4-F3) and central (C4-C3) lobes of each subject were measured while they were performing MI. The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d differences in the alpha values between directional condition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ontal lobe (F4-F3) between conditions. Especially, subjects in the CW condition displayed greater right frontal activity (F4), while greater left frontal activity (F3) was observed in the CCW condition. It means that running around a track counterclockwise is predictive of greater left frontal activity which indicates more positive affect while running around a track clockwise is expected to be greater right frontal activity which can be interpreted in association with negative affect.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ffective changes can be appear depending on different directional conditions and then be closely associated to the formation of turning bi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