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중기 벽돌 사용 담론과 조선 후기 북학론 (The Discourse on the Use of Bricks in the Middle Period Joseon and the Theory of Bukhak in the Late Period Joseon)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2.06
51P 미리보기
조선 중기 벽돌 사용 담론과 조선 후기 북학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46권 / 43 ~ 93페이지
    · 저자명 : 김대중

    초록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지성사의 대표적인 담론인 북학론이 과연 얼마나 조선 후기 이전과의 변별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문제의식 하에 조선 중기 담론에 주목한다. 일단 본고는 북학론의 주요 각론 중 하나인 벽돌 사용론을 논의 대상으로 삼는다.
    우선 본 논문은 조선 중기의 벽돌 사용 담론을 살펴보기에 앞서 조선 전기의 벽돌 사용 담론을 살펴본다. 이런 토대 위에 본 논문은 조선 중기 柳成龍(1542~1607), 李恒福(1556~1618), 朴乃成(?~?), 李廷龜(1564~1635) 등의 벽돌 사용 담론을 분석한다. 조선 중기의 벽돌 사용론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그 성취를 인정할 수 있다. 첫째, 단지 중국의 선진 문물을 도입하자는 차원에 머무르지 않았다. 둘째, 실제 조선 사회의 현실적 맥락에서 벽돌 생산 및 사용에 대한 고민을 구체화했다. 셋째, 국가의 존망에 대한 절박한 위기의식을 수반했다. 넷째, 중국의 문헌과 사례를 참조하면서도 조선 내 실제 벽돌 생산 및 사용 경험을 토대로 했다. 다섯째, 벽돌 생산에 동원된 인민의 목소리를 일부 반영했다. 이렇게 조선 중기의 벽돌 사용 담론을 살펴본 뒤에 본고는 조선 전기·중기의 벽돌 사용 담론을 ‘시좌’로 삼아 조선후기 북학론의 벽돌 사용론을 비평적으로 조망하여 그 장단점을 냉정하게 따진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course on the use of bricks in the middle period Joseon under the question of how different the theory of Bukhak, a representative discourse of intellectual history of late Joseon, can be from discourse of the early and middle period Joseon. Since various topics are covered in Bukhak theory, this paper first focuses on the discourse on the use of bricks, which is one of its main theories.
    Before examining the discourse on the use of bricks in the middle period Joseon, I examine the discourse on the use of brick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On this basis, this paper analyzes the discourse on the use of bricks by Ryu Seong-ryong(柳成龍, 1542-1607), Lee Hang-bok(李恒福, 1556-1618), Park Nae-seong(朴乃成, ?~?), and Lee Jeong-gui(李廷龜, 1564-1635). These discourses in the mid-Joseon Period were not limited to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Chinese culture. They contemplated the production and use of bricks in the realistic context of actual Joseon society. And their discussion of brick use was based on a sense of urgency about the nation's survival. Their discussion was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 of brick production and use in Joseon while referring to Chinese documents and examples, and partially reflected the voices of the people mobilized for brick production.
    It embodied the concern of brick production and use in the real context of Joseon society. It was based on Chinese literature and examples. After examining the discourse on brick use in the mid-Joseon Dynasty, the pros and cons of Bukhak the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re coldly examined by comparing the discourse on brick use in the early and mid-Joseon Period with the theory of Bukh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