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녀들만의 음지문화, 아이돌 팬픽 (Shade Culture of Their Own: Idol Fanf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7.05
36P 미리보기
그녀들만의 음지문화, 아이돌 팬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37권 / 191 ~ 226페이지
    · 저자명 : 김남옥, 석승혜

    초록

    본 논문은 아이돌 팬픽 문화의 특성과 의미를 주체적 문화 실천 집단으로서의 팬덤과 연관시켜 고찰한다. 이를 위해 팬덤의 개념과 위상 변화를 설명하고, 문화자본의 논리, 사회적 신드롬, 특히 아이돌 상품을 주어진 대로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돌 문화 텍스트를 분해하고 파편을 조립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전유하거나 재전유하고 즐기는 “텍스트 밀렵꾼들”의 의미에 맞추어 한국의 아이돌 팬픽의 계보와 서사적 특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팬픽 문화의 특이성을 드러낸다. 이는 병리적 ‘광신도 집단’이라는 고정관념을 상쇄시키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미디어 수용자로서의 새로운 이미지를 획득한 여타의 팬덤 활동과 달리 팬픽 문화가 ‘그녀들만의 음지 문화’가 되고 있는 현실적 논의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사회 갈등-젠더 갈등-과 직결되는 취향의 마이너리티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의 필요성을 점검한다. 팬픽의 개념적 재정의와 계보학적 분석, 최근 변화하고 있는 팬픽의 지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본 논문은 ‘동성애’ 서사에 초점을 맞추어 여성들의 성적 주체성에 한정되어 미미하게 진행되었던 팬픽에 관한 기존의 연구의 한계를 넘어 팬픽 문화 연구의 지평을 확장시킬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liberat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behind idol fanfic culture, one of many subcultures of fandom, by relating them to the view on fandom as a participatory culture practice group. The changes in the concepts and statuses of fandom are explained. Idol phenomenon is discussed as a cultural construct formed by the logics of cultural capital, social syndrome, and the cultural influence scope of fandom alike. Unique characteristics of fanfic culture are dealt with by analyzing the genealogy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idol fanfics. In doing so, the concept of “Textual Poachers”, where members decompose of mainstream idol cultural texts and reassemble for their own use and enjoyment is utilized. Fanfic culture continues to take the form of becoming ‘shade culture of their own,’ while fandom activities in general have offset the negative stereotypes of viewing them as pathological fanatics and moved on to acquire the image of active and voluntary media consumer. Connection is made with the construct and happenings. Lastly, the necessity of social discussions on the problems of preference minorities directly linked to social conflict, or gender conflict, is addre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