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난한 사람의 수치심 돌보기 (Caring for the People with Shame in Pover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8.09
29P 미리보기
가난한 사람의 수치심 돌보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61호 / 443 ~ 471페이지
    · 저자명 : KIM SOO YOUNG SUE

    초록

    이 연구는 가난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이 사회와 신앙공동체 속에서 겪는 심리적 고통 중 하나인 수치심을 사회적, 심리적 측면에서 고찰하면서 신앙공동체를 위한 목회돌봄과 치유의 방안을 제안한다.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감정인 수치심은 성장기의 양육자와 가족관계를 거쳐 형성되며, 이후 확대된 사회관계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필자는 수치심이라는 심리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심층심리적 접근에서 벗어나 사회심리적 접근방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역기능적 수치심을 자극하고 형성하는 경험으로 빈곤이라는 사회현상에 주목한다. 가난은 사회구조의 불평등과 편견, 그리고 인권의 문제와 깊이 연관되며, 빈곤 경험은 개개인의 심리내면과 삶의 태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친다. 현 한국사회에서 가난한 사람은 과거처럼 절대 빈곤선으로 구분되지 않으며, 오히려 경제적 결핍과 더불어 상대적이며 심리적 박탈감을 지닌 채 사회 곳곳에 흩어져 자신을 감추고 살아간다. 필자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빈곤 경험이 개인의 삶과 심리에 끼치는 악영향에 주목하였고, 특히 가난으로 인해 독특하게 형성된 수치심이 사회관계에서 겪는 편견과 차별, 자아 경계의 위기로 인해 심화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궁핍한 상황에 처한 개인의 수치심을 이해하기 위해 사회학과 사회심리학, 그리고 심리학과의 대화를 시도한 광의적 연구의 단초다. 교회 현장에서 사역하는 목회자와 목회상담사가 가난한 사람들의 수치심을 사회심리적 측면에서 이해함으로 신앙공동체를 대상으로 한 돌봄의 목회에 이바지하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가난한 사람들의 수치심을 돌보기 위하여 가난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에 대한 공동체의 인식변화를 제안한다. 가난으로 인한 수치심은 고통을 겪는 사람들만의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빈곤현상에 대해 공동체가 공동으로 느껴야 할 감정이 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astoral response for caring on the people with shame in poverty in the society and also in the church community. As one of the emotions which are formed in the relationship, shame is shaped basically by the family relation with parents, and also consistently influenced by extended social relationships under the various experien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shame, I rather apply the psychosocial approach than depth psychology. This study notices that poverty as the present system of society provokes and forms dysfunctional shame. Poverty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nd negatively affects one’s inner self. The poor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can hardly be recognised by absolute poverty level; rather, they suffer not only from material deprivation but also relative and psychological deprivation. A case study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violated self boundary of the poor only aggravates their shame and sufferings. In order to understand shame in poverty with macro and micro perspectives, this study takes sociological as well as psychological approaches. A Biblical examination guides the attitude of caring for the people in poverty. This study consequently suggests a caring and healing community where a transformed understanding of poverty and the poor, development of healthy and mature shame, and a caring relationship for protecting the self boundary of the people in poverty can be practic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