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장리유적 돌날과 좀돌날 제작의 기술학적 재검토 -돌감, 제작방법과 떼기기술을 중심으로- (Technological approach to blades and micro-blades production at the Seokjang-ni site (Gongju-si, Kor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5.06
30P 미리보기
석장리유적 돌날과 좀돌날 제작의 기술학적 재검토 -돌감, 제작방법과 떼기기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구석기학보 / 1권 / 31호 / 54 ~ 83페이지
    · 저자명 : 서인선

    초록

    돌날과 좀돌날 석기 연구는 후기구석기시대 문화편년에 있어 중요한 증거가 되고, 더 나아가 선사인들의 경제활동과 기술행위를 이해하는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굴된 석장리유적의 돌날과 좀돌날 석기는 연구사적으로 뿐만 아니라 후기구석기시대의 석기 기술체계와 기술전통을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석장리유적의 돌날과 좀돌날 석기를 기술학적 접근 방법을 통해 제작 연쇄공정에 따라 돌감, 제작방법, 떼기기술을 중심으로 재조명 하였다.
    돌날과 좀돌날 제작 가운데 다양한 돌감의 획득과 경영 방식이 확인된다. 유적 인근 지역에 분포하는 반암은 일상 활동 중에 직접 획득하였고, 유적과 다소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유문암은 직·간접적으로, 흑요석과 처트와 같은 외래 돌감은 교환 방식으로 통해 유적으로 유입되는 등 돌날과 좀돌날을 생산하기 위한 여러 돌감 획득 방식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획득된 돌감도 돌날과 좀돌날의 제작 연쇄공정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돌날은 유적 내에서 후기구석기시대의 전형적인 제작방법에 따라 체계적으로 생산되었다. 몸체의 형태와 제작과정 중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능선손질 방식을 채택하여 몸돌을 마름질하거나 (재)손질하였으며, 돌날을 떼기 전 때림면을 적절하게 마련하거나 재생하기도 하였다. 사용된 떼기기술의 경우 몸체를 손질할 때는 돌망치떼기가 이루어졌던 반면에, 석기제작자가 1차적으로 의도한 돌날은 무른 망치 직접떼기기술로 떼어졌다.
    좀돌날은 돌날에 비해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양면손질식, 새기개식, 밀개식, 원추·원통형식 등 크게 4가지 제작방법이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다양성이 내외적인 환경과 제약에 따른 기술적 선택인지 아니면 시간에 따른 변화가 반영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층서에 따른 통시적 연구와 인근 유적과 비교를 통한 공시적 연구를 통해 밝힐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돌날과는 달리 좀돌날은 눌러떼기기술을 통해 생산되었는데, 몸체를 만드는 마름질과 재손질 과정, 좀돌날 떼기의 초기 단계에는 직접떼기가 사용되었다.

    영어초록

    blades and micro-blades.
    Moreover, various raw materials were processed selectively in accordance with chaîne opératoire.
    Blades were systematically produced by the typical methods of the Upper Paleolithic.
    Lithic producers roughed out or (re)shaped blade cores by suitable crest-shaping in accordance with shapes of blank and processing conditions, or suitably made or rejuvenated striking platforms before flaking blades. Whereas producers shaped preforms by hard hammer percussion, blades that they intended were flaked by soft hammer percussion technique.
    Micro-blades were produced more various methods than blades. It can be observed four methods including bifacial type, burin type, end-scraper type and conical/cylin83 drical type. Further diachronic studies based on stratigraphy and synchronic studies by comparison with the sites located nearby places will reveal that these diversifications reflect either the technological selection under the environmental circumscriptions or chronological changes. On the other hand, differently from blades, micro-blades were produced by pressure technique. Direct percussion was adopted in roughing out for making platform, rejuvenating process, and the early stage for flaking micro-blad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구석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