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말, 울산 어부 朴於屯의 생애와 신분적 지위 - 蔚山帳籍을 중심으로 - (Life Time and Social Position of Park Eo-dun, a Fisherman Who Lived in Ulsan, Korea, in the Late 17th Century -Focusing on Family Census Register Filed in Ulsan Authorities(Ulsanjangjeok)-)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0.06
40P 미리보기
17세기 말, 울산 어부 朴於屯의 생애와 신분적 지위 - 蔚山帳籍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연구 / 58호 / 43 ~ 82페이지
    · 저자명 : 이준구

    초록

    17세기 말 조․일 양국의 울릉도·독도 영유권 분쟁과 관련하여 크게 주목되는 박어둔은 어부로 어업에 종사하면서 염간으로 소금 굽는 신역을 부담했으며, 일본의 야욕으로부터 울릉도·독도를 지켜내는데 크게 기여했다.
    박어둔은 울산 어부들과 함께 출입이 금지된 울릉도에 드나들면서 채취한 해산물을 판매한 수익으로 생계를 이어갔다. 그러나 울산 어부들은 병영·수영·울산부 등으로부터 어물을 수탈당하거나 이중 삼중의 첩역이 부과되었으며, 진상하는 물선을 상납할 때도 거둬들이는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어서 갖가지 침해를 받으면서 가련한 모습으로 살아갔다.
    또한 박어둔은 병영에 예속된 염간으로서 소금을 굽던 처지였다. 염간들은 소금 공물이 매우 과중한 데다가 수납할 때의 ‘모손’에 대한 보충도 감당해야 했으며, 땔 나무를 구하기 어려워 세납하는 소금의 수량도 채우지 못하는 처지에서 중앙관청과 수령이 사사로 거두는 것도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 그들은 생계를 지탱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지치고 쇠약해져 갔다.
    박어둔의 신분적 지위는 身良役賤에 해당한다. 그는 친가와 외가의 혈통이 양인신분이고, 처가의 혈통이 천인신분이다. 그의 가계를 보면 납속 수첩자의 다음 세대는 수첩 이전의 신분을 이어갔으며, 경제적으로 가세가 몰락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그의 씨족의 다수는 상민층으로서 농업에 종사하였으며, 어업과 수공업에 종사한 자도 있다.

    영어초록

    Park Eo-dun is known to have been closely involved in the dispute about the ownership of Ulleung-do and Dok-do between Joseon Korea and Tokugawa Japan in the late 17th century. He worked in not only fishing, but making sea salt (Yeomgan), and greatly contributed to protecting Ulleung-do and Dok -do against Japanese fishermen that tried to take over.
    With fishermen who lived in the Ulsan area, Park Eo-dun made his living by fishing in Ulleung-do, where fishermen were not allowed to access. Unfortunately, either fish stocks of the fishermen were plundered by the government authorities, including Byeongyeong, Suyeong and Ulsanbu, or the government authorities ordered them to perform additional two or three works (Cheopyeok). In addition, the fishermen had to offer to the government authority so many kinds of items (Mulseon) as the gift to the king (Jinsang). As a result, all the local fishermen lived very poorly.
    Because Park Eo-dun worked in making sea salt, also, he was obliged to supply an excessive amount of salt (Gongmul) and to be responsible for even loss (Moson) in evaporation and delivery. Moreover, it was so difficult to get firewood required to produce sea salt that they could not provide even the amount of salt to pay tax. Because bot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ors gathered a variety of things for their private purpose, nevertheless, they became too weak to maintain their own living.
    Park Eo-dun was of the humble class, but worked in the lowest class (Sinryangyeokcheon). Both his father and mother families were of the humble class, but his wife's family was of the lowest class of people. His own generation of the family (Gagye) was given a social class called Napsok, and his next generation was of the class prior to getting the Napsok class. Economically, his family was very poor, and most of his clans were of the lowest class and worked in farming, while some of them worked in fishing and handcraf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