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본에 따른 인물의 형상화 비교 - 쉴러의 <돈 카를로스>』 (Figurendarstellung in den verschiedenen Fassungen von Schillers Don Karlo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1.08
18P 미리보기
판본에 따른 인물의 형상화 비교 - 쉴러의 &lt;돈 카를로스&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언어문학 / 93호 / 211 ~ 228페이지
    · 저자명 : 김동훈

    초록

    본 논문은 쉴러가 『돈 카를로스』를 여러 차례 새로운 판본으로 출판하였다는 전기적 사실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이 희곡작품은 첫 완성본인 1787년 판본부터 마지막 수정본인 1805년 판본까지 극작가의 편집을 거쳐 총 다섯 차례 발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건의 핵심축을 이루는 돈 카를로스와 엘리자베트 왕비의 관계를 중심으로 세 가지 판본(탈리아 초고, 1787년 판본, 1805년 판본)을 비교함으로써 판본에 따른 인물의 형상화에 주목한다. 탈리아 초고와 1787년 판본에는 격렬한 감정을 담은 언어적 표현이 두 인물의 대화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이러한 ‘폭풍우와 돌진’ 시기의 어휘들은 1805년 판본에서 순화되거나 삭제되었다. 또한 엘리자베트는 탈리아 초고와 1787년 판본에서 필립2세에 대한 저의를 감추지 않고 표현하지만, 1805년 판본에서는 감정을 절제하며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는다. 한편 쉴러는 1787년 판본과 달리 1805년 판본에서 카를로스가 엘리자베트를 경탄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장면을 삭제함으로써 ‘경탄미학’에 거리를 두었다. 요컨대 ‘폭풍우와 돌진’ 시기의 문학적 요소를 지닌 첫 완성본은 18년 후 ‘바이마르 고전주의’ 시기의 문학적 양식에 가까운 작품으로 탈바꿈되었다. 따라서 1787년 판본과 1805년 판본은 엄연히 다른 문학적 사조를 배경으로 탄생한 작품으로서 구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판본별 비교 연구를 통해 쉴러의 문학적 발전과정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Schiller hat Don Karlos zu seinen Lebzeiten mehrmals überarbeitet und in Neuausgaben veröffentlicht. In der von ihm herausgegebenen Zeitschrift Rheinische Thalia veröffentlichte er zunächst die ersten drei Akte, die auch als ‘Thalia Fragment’ bezeichnet werden. 1787 erschien die erste Druckfassung beim Verlag Göschen in Leipzig. Bis zu Schillers Todesjahr 1805 erschienen insgesamt fünf verschiedene Ausgaben, die sogenannten vom Dramatiker autorisierten Fassungen.
    In den 1790er Jahren äußerte Schiller seine Unzufriedenheit mit dem Stück. Er distanzierte sich davon und bezeichnete es als "jugendliche Arbeit“. Dennoch darf die Ausgabe von 1787 nicht als unvollendete Frühform der Ausgabe von 1805, sondern muss als eigenständiges Werk betrachtet werden. Der vorliegende Beitrag befasst sich mit der Figurendarstellung in den verschiedenen Fassungen. Konkret wird analysiert, wie die Protagonisten Don Karlos und Elisabeth in den Szenen, in denen sie zusammen auftreten, je nach Ausgabe unterschiedlich dargestellt werden. Die leidenschaftliche Redeweise Karlos’ im Thalia Fragment und in der Ausgabe von 1787 wurden in der Ausgabe von 1805 gekürzt und abgemildert. Gegenüber der Ausgabe von 1787 wurden in der Ausgabe von 1805 die wahren Gefühle der Königin Elisabeth gegenüber ihrem Gemahl, König Philipp dem Zweiten, versteckt bzw. gestrichen. Die Unterschiede zwischen den verschiedenen Ausgaben spiegeln die Stilisierung in Schillers Stück im Übergang vom ‘Sturm und Drang’ zur Klassik wider. Zugleich geben sie auch Aufschluss über Schillers Entwicklung als Dramatiker in der Weimarer Ze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