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폭력의 신화적 형상, ‘독쉬트(dogshid, 난폭한 신격)’의 양면성 (A study on the ambivalence of ‘dogshid, a violent deity’, a mythical character of viole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1.08
30P 미리보기
폭력의 신화적 형상, ‘독쉬트(dogshid, 난폭한 신격)’의 양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43호 / 57 ~ 86페이지
    · 저자명 : 이선아

    초록

    이 논문은 몽골 영웅신화 특유의 ‘쉬데트(shidet, шидэт, 환상성, 마법성)’와 함께 북방지역 여러 신화 장르와 민속 현장에서 그 원형성을 공유해 온 난폭한 신화적 형상, ‘독쉬트(dogshid, догшид, 난폭한 신격)’의 속성과 이를 몽골 유목민 민속의 현장에서 전승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폭력’의 신화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다. 즉, 신화의 시기부터 인간사회에 내재하면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폭력’에 대한 원초적 문제에 주목하였다.
    부리아트 몽골의 영웅서사시 <아바이 게세르 복도 한(Абай Гэсэр Богдо хаан)> 서사시의 경우, 태초의 신은 ‘에흐 보르항(Eh Burkhan, эх бурхан, 불모신(佛母神))’과 같이 어머니의 신으로 유일신의 형상으로 등장하여 창세를 주관하였다. 모계 중심의 창세신의 신화에서 부계 중심의 천신의 신화로 이향되면서 신격의 형상은 ‘난폭한(독쉰, dogshin, догшин) 신성(神性)’과 ‘온화한(놈홍, nomhon, номхон) 신성’으로 이원화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중, ‘난폭한 신성’은 ‘온화한 신성’에 의해 난폭한 신성보다 더 난폭한 징치를 당한 후, 인간세계로 축출되어 ‘망가스’라는 괴물의 형상으로 변모하게 되는 역설적인 상황에 주목하였다. 이처럼 신들이 탐낼 정도로 평화롭던 인간세계가 ‘온화한’ 신성의 ‘신적 폭력’으로 인해 ‘폭력’의 화신들이 날뛰는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는 세계관과 함께 인간세계 안에서 본격적인 ‘폭력’의 관념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몽골 영웅신화의 초반에서 잔혹한 통과의례로서 인간에 의해 자행되는 영웅 어머니에 대한 ‘신화적 폭력’과 함께 하늘 영웅이 인간 영웅으로의 탄생 과정에서 반전의 기괴한 형상으로 인해 숙명적으로 당하게 되는 폭력의 사례를 다루면서 영웅 신격에 대해 인간세계로의 입사의례로서 행해지는 ‘타자화’된 ‘신성(神聖)’에 대한 ‘폭력’의 양상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신성에 대한 인간의 폭력성이 이후에는 몽골 영웅신화 전승의 과정에서 독특하게 변모하게 되는데 특히, 타자화된 형상인 폭력자 ‘망가스’ 형상이 민중에 의해 수용되는 과정에서 오히려 ‘자기화’되는 단계를 거치는 모습이 특징적이었다. 몽골 영웅신화에서 폭력자로서의 전형을 표상하는 ‘망가스’의 형상은 신화 장르의 변모와 사회 발전의 단계에 따라 유연하게 변모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몽골 영웅서사시의 망가스 퇴치담이 각편화되어 ‘망가스 울게르(蟒古思故事)’라는 독자적 장르로 발전되는 시기부터 망가스 형상의 전형성이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시기에는 타자화된 형상인 폭력자 ‘망가스’ 형상이 민중에 의해 수용되는 과정에서 오히려 ‘자기화’되는 단계를 거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폭력자의 신화적 형상 ‘망가스’에 대한 자기화의 과정은 몽골 불교의 ‘호법신(護法神)’인 ‘독쉰 보르항’의 신앙 현장에서도 뚜렷하게 확인될 수 있었다. 특히 몽골의 대표적인 독쉰 보르항(호법신)인 ‘함 보르항(Lham burkhan, Лхам бурхан)’이 폭력자 ‘망가스’와 수호자 ‘독쉰 보르항’의 경계를 뛰어넘어 몽골 유목민의 적극적인 호응을 확보한 사례를 통해 난폭한 신화적 형상 ‘독쉬트’ 형상의 양면적 속성과 이러한 형상에 대한 민중의 인식과 수용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난폭한 신성으로서의 ‘독쉬트’ 형상에 대한 이중적 인식은 더이상 봉건적 이항대립의 가치관이 통용되지 않는 현대 사회의 세계관에 대한 각성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다양한 현대적 대중 콘텐츠 장르에서 미래 세대들이 열광하고 있는 ‘잔혹’과 ‘폭력’의 서사와 형상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모색하는 데에 있어 신화의 시기부터 인간사회에 내재하고 있던 ‘폭력’에 대한 원초적 관념에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incipled problem for ‘violence’, which has been inherent in human society since the period of mythology and exerts absolute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figures of ‘dogshid (догшид, violent deity)’ appearing in the Mongolian heroic myth.
    As myths collide with religion and actively intervene in the human world, the myth of ‘violence’ has been represented by various mythological figures such as gods, heroes, and monsters. In the case of the heroic myth, it mainly deals with the deeds of the hero god who fights the monster that disturbs the human world, and pays attention to the mythical typicality of violence as a binomial composition of the superficially violent monster and the hero who punishes it.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discourse on ‘violence’ within the myth has been flexibly talked about in close contact with the lives of the people in religious ceremonies and folklore scenes, with long mythological laminarity and complex and subtle cognitive systems.
    In particular, the Mangas (Mangγus, monster) is the maximized form of 'dogshin(догшин, violent, aggressive)', and shared its originality in many northern myth genres and folklore sites in the northern region along with 'shidet, шидэт (fantasticity, magic)', the main characteristic of Mongolian heroic myths.
    In this thesis, it was focused on the heroic epic cases that have maintained strong vitality along with the turbulent history of Mongolian nomads, such as the birth process of the beginning gods, the creation of humans and clans, the solidarity and internal conflict of tribes, and the establishment and decline of the empire etc.,
    I paid attention to ‘dogshid’, a mythical character representing ‘dogshin’, such as ‘Mangas’ and ‘Schulmas’, the antagonistic forces of the main hero. Also, I examined the mythical origin and identity of viol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trans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