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책임보험의 운용에 있어서 한ㆍ독 보험계약법상 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 in the Operation of Liability Insurance)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9.08
51P 미리보기
책임보험의 운용에 있어서 한ㆍ독 보험계약법상 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상사법연구 / 38권 / 2호 / 169 ~ 219페이지
    · 저자명 : 김은경

    초록

    피보험자가 제3자에게 배상책임을 부담할 경우 그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을 보험의 목적으로 하는 보험계약을 책임보험이라고 한다. 현대적 의미의 책임보험은 19세기 산업화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책임보험이라는 제도를 생성시키는 과정에서 착안한 초기 의무보험의 도입을 시작으로 하여, 산업사회가 가지는 다양한 위험에 이 제도를 연계시켜 사회적 제도로 안착시킨 지금에 이르기까지 약 20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한국 상법 제4편 제2장 제5절 제719조에서 제726조까지가 책임보험에 관한 규정이고 특별히 규정이 논리적인 순차성을 염두해 두고 배치된 것이 아니어서 책임보험의 일반 규정과 특수한 책임보험 규정이 체계상 혼재된 측면이 있다. 독일은 제2편 제1장에서 책임보험을 규정하면서 제1절 통칙(제100조에서 제112조)과 제2절에서 의무책임보험에 관한 규정(제113조에서 제124조)으로 나뉘어 구법과 동일한 입법체계를 가지고 있다.
    두 법체계상 가장 결정적인 차이는 우리 상법 책임보험규정에 따르면 임의책임보험과 의무책임보험을 구분하지 아니하고 모든 책임보험에 제3자의 직접청구권 행사를 인정하는 것인 반면, 독일보험계약법에 따르면 제3자의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은 의무보험에 한하여 인정하는 데에 있다. 임의보험과 의무보험을 구분하지 아니하고 받아들였던 제3자의 직접청구권 인정은 국제사법상 해외 책임보험 사고와 충돌이 되는 경우가 많다. 세월호사건의 보험법적 해결이 그러했다.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 것은 의무책임보험에서만 제3자의 직접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으로 바로 잡는 것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책임보험에서 이행해야 할 의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구체적으로 명문화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책임보험에서는 보험사고와 손해사고가 다른 것이므로 그 특수성을 인정하여 상법 제657조의 보험사고발생의 통지의무와는 별개로 손해사고를 통지하도록 할 의무를 부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손해사고 이후 제3자가 제기한 청구권의 행사가 소송으로 구체화될 경우 보험자에게 이를 알려야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통지의무는 책임보험에서의 보험사고로 그 손해가 확대가 될 가능성을 억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통지에 기반하여 보험자는 보험사고에 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취지에 따라 보험계약자 측의 손해사고발생 통지의무 및 소송통지의무 외에도 제3자 측면에서 손해사고발생 통지의무와 제소사실통지의무를 명문화해야 한다. 그 외에도 책임보험은 다른 보험과 달리 제3자가 반드시 전제되는 것이고 제3자가 보험자에 대하여 직접청구권을 행사할 경우 보험자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필요한 서류나 증거의 제출에 협조해야 할 제3자의 협조의무 역시 명문화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Liability insurance is an insurance contract of which the subject-matter insured is the loss of property in case the insured bears the liability of compensation to a third party. The liability insurance in the modern sense is intertwined with the nineteenth-century industrialization. Beginni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early compulsory insurance based o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system of liability insurance, it has taken about 200 years to connect this system to various risks of industrial society and to stabilize it as a social system until now.
    As Article 719 to Article 726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hereafter ʻKCCʼ) Part 4 Chapter 2 Section 5 are provisions on liability insurance and have not been particularly arranged in logical sequence, the common provision and the special provision have somewhat been confused systematically. The provisions of the German Insurance Contract Act 2008 Part 2 Chapter 1 (Liability) have been separated into Division 1 (General provisions) Article 100 to Article 112 and Division 2 (Compulsory insurance) Article 113 to Article 124 and have an identical legislative system with the previous Act.
    The most conclus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egislative systems is that while the KCC provisions on liability insurance do not differentiate voluntary liability insurance and compulsory liability insurance and acknowledge the direct right of action to the insurer by the third party in every liability insurance, the German Insurance Contract Act 2008 only accepts the direct right of action to the insurer by the third party in compulsory insurance. The acknowledgement of the direct right of action to the insurer by the third party without differentiating voluntary insurance and liability insurance frequently conflicts with foreign liability insurance accidents in international private law. This was the case with the insurance legal solutions of the Sewol ferry case. Therefore, it is utterly crucial to correct this situation by acknowledging the direct right of action by the third party only in compulsory liability insurance.
    Furthermore, I suggest the following specific stipulation by law concerning the duty required in compulsory insurance. As an insurance accident and an causation accident are differentiated in compulsory insurance, its specificity should be recognized so that the duty of notice of the occurrence of a causation accident should be imposed apart from the duty of notice of the occurrence of an insurance accident in KCC Article 657. Moreover, if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 right of action raised by the third party after a causation accident actualizes into a lawsuit, this should be notified to the insurer. The hitherto mentioned duty of notice is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the extension of the loss to an insurance accident in compulsory insurance. Based on this notification, the insurer may be able to cope with an insurance accident.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is object, besides the duty of notice of the occurrence of a causation accident and the duty to notify a lawsuit on the part of the policyholder, the duty of notice of the occurrence of a causation accident and the duty to notify a lawsuit on the part of the third party should be stipulated. In addition, liability insurance necessarily premises a third party unlike other insurance, and in case the third party performs the direct right of action against the insurer and the insurer demands related information, then it should be provided and the duty of cooperation by the third party in submitting required documents or evidence should also be stipulat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