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랑그독(Languedoc)의 공공 토목공사 : 랑그독 신분회와 중앙집중화-분권화 논의 (Public Works in 17-18th Century Languedoc : Provincial Estates of Languedoc and Question of Centralization-Decentraliz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2.11
28P 미리보기
17-18세기 랑그독(Languedoc)의 공공 토목공사 : 랑그독 신분회와 중앙집중화-분권화 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88호 / 259 ~ 286페이지
    · 저자명 : 김대보

    초록

    랑그독은 흔히 ‘절대왕정의 예외’라고 불리며 구체제 프랑스에서 가장 독특한 지방이었다. 랑그독의 지방신분회는 중앙 행정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재정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었다. 국왕과 왕실 납부액을 협상하고, 신분회가 자율적으로 심의하여 결정할 수 있었으며, 지방에 필요한 금액을 별도로 징수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랑그독 신분회가 가진 이러한 자율성은 17-18세기 동안 정치적 투쟁을 통해 얻어낸 것이었다. 루이 14세가 어린 나이에 즉위하고 프롱드 난이 발발하여 파리의 정국이 불안정해진 틈을 타 재정적 자율성을 확보했고, 이후에는 공공 토목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꾸준히 확대해 나갔다. 그리고 랑그독 내 중앙 행정 소속 관직자들의 권한을 점차 축소시켰다. 이렇게 행정적 자율성을 확대시킨 랑그독 신분회는 자율성의 표현으로서 도로망의 확충에 1756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고, 그에 따라 도로공사의 수와 지출 금액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랑그독 신분회는 파리와 독립적인 토목학교를 파리와 몽플리에에 설립했다.
    랑그독 신분회가 도로망 확충에 개입한 것은 자율성의 표현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경제적 이유도 작용했다. 당대인들은 지역간 생산 불균형을 해소하여 모두의 부를 증대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도로의 필요성을 잘 알고 있었다. 그렇더라도 도로는 그 자체로 자명하지 않았다. 모든 도로는 인간의 정치적 선택에 따른 결과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랑그독 신분회의 행정을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아를레트 주아나는 단순한 중앙집권화-분권화에서 벗어나 이중 중앙집중화로 랑그독을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앙집중화 논의는 다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에 따라, 행정 영역에 따라 중앙집중화, 분권화 등의 문제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18세기의 중앙 행정과 랑그독 신분회의 행정에는 모두 이론적 중앙집중화와 실질적인 분권화, 제도적 표준화와 예외 지방의 단독 표준화, 그리고 국왕이 의도한 분권화와 지방의 자율성 확보 및 자체적인 중앙집중화가 모두 뒤섞여 있었다.
    이러한 랑그독 신분회의 행정에 대한 논의를 통해 지방사 서술에 일정한 제언을 할 수 있다. 즉, 역사의 흐름에 단순하게 휩쓸리는 지방이 아니라 나름의 동력을 가지고 중앙에 연쇄적인 파동을 일으키는 지방의 모습을 서술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often said that the province of Languedoc is an exception to absolute monarchy. The Estates of Languedoc, outside the reach of the royal administration, has financial autonomy. They negotiate with the King, deliberate and vote the sum of Don Graguit. In addition, they can collect the amount necessary for their action.
    This autonomy is the result of political struggle between the Estates and the King. The Estates of Languedoc obtain financial autonomy after the coronation of Louis XIV and during the Fronde. Since then, the Estates have increased the sum for public works, and minimized the functions of royal agents in their province. They have been actively involved since 1756 in the development of the road infrastructure, so that the number and the amount spent on public works have multiplied. In addition, the Estates established the two schools of engineering, one in Toulouse and the other in Montpellier.
    The Estates of Languedoc intervene in road works not only to demonstrate local autonomy but also for the economy. Contemporaries are well aware of the necessity of roads which bring about prosperity by balancing the unequal production between different provinces. However, the roads are not straightforward. They are politically decided by men.
    So, how can we underst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s of Languedoc? Arlette Jouanna offers us the expression “bi-centralization”. However, centralization is not a simple matte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various levels of centralization because it is foun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ranches of administration, the provinces etc. In the central administration and that of Languedoc, we can see all of these factors together: theoretical centralization and real decentralization; institutional standardization and that in an exceptional province; decentralization by royal intent, local empowerment and local centralization.
    By this argument, a proposal can be made for the historiography of local history, that is to say, it would be necessary to write the history not of the province which depends on the center, but of the province and of the center which influences each other recipro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