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峰 鄭道傳의 改革思想 (A Study for Sambong Jung Dojeon's Spirit of Reform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2.05
30P 미리보기
三峰 鄭道傳의 改革思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70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조항덕

    초록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은 고려 말기의 혼란을 극복하고 조선의 건국을 이끌었던 대표적 정치가이며 유학자이다. 그는 고려 말에 신진사대부들과 힘을 모아 일련의 개혁정책을 추진하였고, 그 과정에서 기존의 체제로는 개혁에 한계가 있음을 통감하였기에, 새나라 조선을 개창함으로써 민족적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본 연구는 삼봉의 개혁사상의 심층에는 과연 어떠한 지향점이 있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덕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자주의식(自主意識)은 원(元)나라의 지배체제에서 각성된 민족의식에 기초한 것으로, 공민왕(恭愍王)과 특별한 관계를 맺었던 삼봉에게 그대로 이어졌다. 그동안 사대주의자로 알려진 삼봉이지만 이는 외교적 포장일 뿐 실제적으로는 강한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조선의 독자적 위상을 갖추고자 노력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둘째, 삼봉의 애민정신(愛民精神)은 유학적 신념에 근거하여 형성되었으며, 정치적 탄압을 받아 회진에서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만난 민초들의 모습을 통해 강화되었다. 삼봉은 전제개혁에서 계민수전(計民授田: 백성의 인구에 비례하여 토지를 분배함)의 원칙이 지켜지기를 소망했으며, 항상 백성이 편안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정치를 구현하고자 노력하였다. 셋째, 삼봉의 실용주의(實用主義)는 태조 이성계를 만나 무기력한 지식인의 모습에서 벗어나 탁월한 정치가로서 등장하는 것에서 확인된다. 다방면에 걸친 그의 뛰어난 업적 대부분은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고민했던 실용주의의 연상선상에 있으며, 이는 곧 스스로를 실학이라고 규정한 성리학의 신념과도 일치한다.
    자주와 애민 그리고 실용은 삼봉 개혁사상의 핵심으로 자주의식이 내면에 위치하여 삶의 지표로서의 역할에 충실했다면, 애민정신과 실용주의는 구체적 사안에 대하여 상호 보완하여 합리적 선택의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영어초록

    Sambong Jeong Dojeon(1342-1398) was a representative figure, a politician and Confucianist who weathered a crisis of the late Koryo Dynasty and led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He was pushing ahead with political reformations together with Sinjin Sadaebu in the late Koryo Dynasty. In the process of reformation, they agreed to have had some restraints with existing systems, and finally decided to open a new era,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with new nation, Joseon.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purposes of reformation of Sambong and summarization of qualities of leaders which were essentially required is following.
    First, autonomy was based on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as awakened during the reign of Yüan and Sambong who had a special bond with King Kongmin succeeded to it. Sambong had been known as a timeserver, but it was only a diplomatic outward appearance, and in reality it seemed he tried to achieve its own status based on strong autonomy. Second, Sambong's love for the people was based on the Confucian beliefs, and when he was exiled to Huijin under political pressure and had a chance to watch the life of people, it was deepened. Sambong wished to keep the principle of Gaeminsujeon, which distributed the land in proportion to the population, through despotism reformation, and always tried to make the world for the people where they could live at ease and happily. Third, pragmatism of Sambong was assured when he met Taejo Lee Seong-gae and got out of his enervated figure of intellect, and became a outstanding politician. Most of his superb achievements were on the extension of pragmatism which was addressed for the politics for the people, and those were consistent with the beliefs of Neo-Confucianism which defined itself as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utonomy, love for the people, and pragmatism were a core of Sambong's reformation and when the autonomy was inside of him and served fully as a life pointer, love for the people and pragmatism were interacted each other and militated as criteria of rational choice to the specific is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