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衛夫人 『筆陣圖』의 書法論 연구 (A study on Wei Shuo's 『The picture of Ink Brus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5.03
28P 미리보기
衛夫人 『筆陣圖』의 書法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26호 / 81 ~ 108페이지
    · 저자명 : 김지수, 장지훈

    초록

    본고는 衛夫人으로 알려진 東晉時代의 여류서예가 衛鑠(272-349)의 『筆陣圖』를 연구한 글이다. 『필진도』는 위부인의 서예이론서로, 예로부터 글씨를 배우는 자들이 기초이론으로 삼았다. 『필진도』는 楷書의 필수 요소들을 포함하는 學書論 ․ 筆劃論 ․ 筆法論을 담고 있다.
    세간에서는 『필진도』의 眞僞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많았다. 역대 『필진도』가 수록된 문헌을 살펴보면, 일부 相異한 부분에서는 상통하는 字로 변경되거나 한 두 글자 정도가 빠지고 추가되며 수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위부인이 『필진도』를 작성한 후 전해지는 과정에 후대 사람들이 글자를 첨삭한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진위여부를 떠나 글자의 상이함에 따른 내용은 별반 차이가 없다.
    『필진도』의 구성은 내용상 學書論, 筆劃論, 筆法論 등으로 구분된다. 學書論에서는 글씨를 쓸 때 사용하는 도구와 집필의 중요성과 집필하는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筆劃論에서는 주로 ‘근 ․ 골 ․ 육’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특히 “뼈가 많고 살이 적은 것을 ‘筋書’라 하고, 살이 많고 뼈가 적은 것을 일러 ‘墨猪’라고 한다.”는 말은 후대에도 많이 회자되었다.
    또한 글씨를 쓸 때 기본이 되는 일곱 가지 필획을 자연형상에 비유하여 설명함으로써 후대 ‘永字八法’의 모태가 되었다. 아울러 ‘영자팔법’은 서예이론상 매우 창조적인 학설로 남게 되어 『필진도』는 후대 서예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왕희지를 비롯한 많은 서가들이 이 이론을 인용하는 등 서예이론 곳곳에서 『필진도』의 흔적들을 확인할 수 있다.
    위부인의 『필진도』는 서예 본질에 대한 이해와 서예 전통에 대한 철저한 인식을 이해하는 기반을 제공해준다. 그리하여 오늘날까지도 많은 서론에 인용되어 서가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때문에 『필진도』는 서예의 전통적인 書法論을 이해하는 규범서로서 의의가 있으며, 전통 書論에 대한 인식을 提高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icture of Ink Brush』 from the Eastern Jin period has become a fundamental for people practicing calligraphy today. Wei Shuo, a renowned female calligrapher often called as madame Wei, is the one to write this. 『The Picture of Ink Brush』 contains theories for studying calligraphy, strokes, and style that established consequential rules about the regular script. Therefore, this thesis investigates calligraphy theory on Wei Shuo's 『The Picture of Ink Brush』, and review the criticisms and philosophies of historically famous calligraphers as it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s of practicing calligraphy.
    Eastern Jin period was the most chaotic time in Chinese history. Frequent wars among subordinating countries and inner confrontations among dividend parties resulted people to move inland, and it became the central place for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In this period, people started to review the art of writing characters which formed the calligraphy theory. Meaning, people started to look upon the written characters as an artistic field to be admired, thus creating and forming calligraphy theories.
    However, education was not a desirable virtue for females at this time. Wei too was not allowed to learn and develop her techniques although her family had rich background for calligraphy. In fact, Wei's family had many famous calligraphers such as Wei Ji, Wei Heng, Wei Guan, and much more. When Wei Heng, the uncle of Wei Shuo, saw her secret writings, he changed his mind to allow her to study. At the tim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lessons were taught within the family which allowed Wei to absorb the flourishing amount of references and teachings considering Zhong yao, who's still a greatly respected calligrapher, is from her grandfather's generation.
    Although there is a debate on whether 『The Picture of Ink Brush』 is Wei's work or not, it does not lessen the importance to study about 『The Picture of Ink Brush』. First, despite the debate, it is widely accepted as hers to most scholars. Second, the work itself has tremendously affected today's calligraphy in that it describes strokes and ways to study calligraphy. Third, Wei's theory in 『The Picture of Ink Brush』 has been recognized by reviews from critics which helped understand the essence of calligraphy and tradition. All these aspects about 『The Picture of Ink Brush』 provides reasons to investigate the work thoroughly.
    This study had limits on analyzing the original work since some letters were edited as it was descended down to generations.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study much since the main contents in the original work remained well. 『The Picture of Ink Brush』 clearly affected the latter generations until today, and it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