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晉州城圖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Jinjuseong Maps in the Late Yi-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4.03
45P 미리보기
조선후기 晉州城圖의 비교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68호 / 181 ~ 225페이지
    · 저자명 : 김준형

    초록

    진주성도는 진주 고을의 전반적인 모습을 묘사하는 일반 군현지도와는 달리 읍치와 성을 중심으로 한 옛날 시가지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망하는 지도이다. 필자는 전국에 산재한 18종의 진주성도 사진을 수집․분석하여 그 제작의 선후관계를 추정해 보고자 했다. 각 진주성도들을 비교해 보면, 이들 간에는 모습이 똑같은 것은 하나도 없고, 진주성의 모양이나 중요 건물의 위치나 모습, 건물명에 대한 기재사항 등에서 크고 작은 차이가 있다. 이것은 각 진주성도를 그린 사람들의 입장 차이에서 오는 것도 있겠지만, 그 그림을 그리던 시기에 따라 일부 건물이 다른 모습으로 중건되거나 또는 소멸․이건되고 건물 명칭이 달라지기 때문에 나타날 수도 있다. 필자는 진주성 내외 시설의 변화를 알려주는 사료에 입각하여 각 진주성도의 모습에서 나타나는 차이의 의미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각 진주성도 간의 제작의 선후관계를 추정해 보았다. 이중 1780년대 말 이후 남문 누각이 1층에서 2층으로 변화한 점과 1830년대에 봉명루가 의봉루로 명칭이 변화한 것, 1841년 사마소가 연계소로 변화한 것을 전제로 각종 진주성도를 분석해서 제작시기를 추정해 보았다. 또 창렬사․충민사, 산성사의 변화 모습, 의기사의 방향 변화, 진주성 내의 못(城池)의 변화 상황 등을 복합적으로 살피면서, 이를 전제로 다시 진주성도들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충남’이 가장 이른 시기에 그려졌고, ‘진주박1’과 ‘영남대’는 그 이후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진주성도들은 1780년대 말 이후 1830년대 사이에 그려졌을 것이다. 다음에 ‘오민’․‘부산박’․‘계명대2’․‘진주박2’, → ‘동아대1’․‘서울대2’, → ‘송암’․‘전쟁’ 순으로 각 진주성도가 제작되었지만, 이 진주성도들의 제작시기는 모두 1830년대로 추측된다. 그리고 ‘동아대2’는 1841년 이후 1868년 이전에 제작되었을 것이고, ‘계명대1’은 1868년경, ‘서울대1’은 1868년 이후 1889년 이전에 제작되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Unlike general county and town maps that depict the overall look of Jinju County, Jinjuseong map(晉州城圖) is the map intensively displaying the old town around districts and castl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18 kinds of Jinjuseong map photo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the author attempted to estimate the order of the production.
    Comparing Jinjuseong maps, none of them is the same and there are small and large differences in the shape of Jinjuseong or location or form of important buildings, details on building name etc.
    This may be caused by a difference of position between people who drew each Jinjuseong map, bu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depending on when the painting was drawn, some buildings were rebuilt into other forms or destroyed․relocated and building names were changed.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indicating changes in facilities around Jinjuseong, the author found out the meaning of differences shown in the appearance of each Jinjuseong map and futhermore, estimated the order of the production among Jinjuseong maps.
    The author estimated the production time by analyzing various Jinjuseong maps on the premise that South Gate Pavilion was changed from 1st floor to 2nd floor after the late 1780s and the name was changed from Bongmyeonglu(鳳鳴樓) to Uibonglu(儀鳳樓) in 1830s and Samaso(司馬所) was changed to Yeangaeso(蓮桂所) in 1841. And while comprehensively examining changes in Changryeolsa(彰烈祠), Chungminsa(忠愍祠), Sanseongsa (山城寺), change of the direction of Uigisa(義妓祠), changing circumstances of castle pond in Jinjuseong etc., the author compared Jinjuseong maps again based on this premise.
    As a result, ‘Chungnam’ seems to have been drawn the earliest time and ‘Jinjubak1’ and ‘Jinjubak1’ and ‘Yeungnamdae’ seems to have been produced thereafter. These Jinjuseong maps may have been drawn between after the late 1780s and 1830s.
    And then, each Jinjuseong Map was produced in the order of ‘Ohmin’․‘Busanbak’․‘Keimyungdae2’․‘Jinjubak2’, → ‘Dongadae1’․‘Seouldae2’, → ‘Songam’․‘Jeonjjaeng’ but all these Jinjuseong maps are assumed to have been produced in 1830s. And ‘Dongadae2’ may have been produced between 1841 and 1868 and ‘Kyemyungdae1’ in around 1868 and ‘Seouldae1’ between 1868 and 188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