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Food as an Action Tool of Confucian Ide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0.03
24P 미리보기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72호 / 207 ~ 230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음식은 인간의 생존을 위한 필요한 기본조건임과 동시에 삶의 여러 측면에서 사회문화적 · 상징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종교사상에 기반한 금기음식을 들 수 있는데, 기독교의 음주 금지 규율, 불교의 육식 섭취 금지 규율, 이슬람교의 돼지고기 섭취 금지 규율, 힌두교의 쇠고기 섭취 금지 규율 등이 있다. 이러한 음식 금기는 구성원들에게 규율을 준수하도록 하여 집단의 일원이라는 동질성과 정체성을 형성하면서 공동체적 질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음식의 사회문화적 기능에 주목하여 유교와 음식의 상관관계를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즉 유교에서는 음식을 통해 무엇을 구현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어떤 이념과 사상을 강조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음식을 통해 강조하고자 했던 유교의 정신(이념)은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음식을 매개로 삼아 절제 정신을 실천하고자 했다. ‘安貧樂道’라는 말이 있듯이 유학자들에게 있어 궁핍함은 스스로를 극복하기 위한 삶의 실천적 과정이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음식 섭취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 욕망(食貪)이면서 매일 반복되는 행위인 까닭에 스스로를 제어하는 修己의 대상으로 삼기에 매우 적절했다. 성호 이익 역시 “아침저녁으로 빠뜨려서는 안 되는 것은 밥이지만, 스스로를 극복하는 것은 모름지기 친근한 데서 시작되므로 음식을 조절하는 것을 요점으로 삼는다”라고 했다. 공자를 비롯한 대부분의 유학자들 역시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고 기름지고 맛난 음식을 멀리하는 등 삶의 궁극적 목표를 신체적 쾌락과 욕망이 아니라 이상적 가치에 두었다.
    둘째는 식사를 함께 하는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식사예절을 통해 ‘배려정신’을 실천하고자 했다. 예를 들어 남보다 많이 먹기 위해 밥을 뭉치거나 크게 떠서 입에 넣거나, 음식을 씹을 때 쩝쩝거리거나 생선 뼈를 깨물어 먹는 등 타인에게 혐오감을 주는 행동을 금기하는 것이다. 아울러 남의 집을 방문했을 때 밥상에 차려진 음식에 간을 추가하는 등 음식을 제공한 상대(집주인)에게 결례되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도 배려에 해당한다.
    셋째는 음식의 차등적 구분을 통해 ‘親親尊尊’이라는 유교의 도덕적 규범을 실천하고자 했다. ‘친친’은 ‘친족과 더욱 친하게 지낸다’는 뜻이고, ‘존존’은 ‘지위나 연령이 높은 사람을 존경한다’는 뜻이다. 즉 ‘친친’이 가족과 친족관계에서 실천되는 규범이라면, ‘존존’은 혈통을 뛰어넘은 사회적 관계에서 통용되는 규범적 원칙이다. 그리고 이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로 확장되는 도덕적 규범의 최대 범주이기도 하다. 이런 배경에서 유교에서는 일상 및 비일상적 차원에서 음식을 둘러싼 차등적 구분을 통해 질서를 수립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Food is a basic condition essential for human survival, and at the same time, a sociocultural / symbolic tool in various aspects of life. One of the most prominent example is the taboo food based on religious ideology, such as alcohol prohibition of Christianity, meat prohibition of Buddhism, pork prohibition of Islam, and beef prohibition of Hinduism. Such food taboo makes the members to comply with the discipline, thus executing the function of forming a sense of homogeneity and identity as a member of the group and maintaining the communal order. From such background,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onfucianism and food by focusing on the sociocultural function of food. That is, it was meant to examine what Confucianism intended to realize through food, and what spirit and ideology were emphasized for this.
    Confucianism intended to emphasize three spirits (ideologies) through food. First is the moderation of food. As in the saying 'anbinnakdo (安貧樂道,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for Confucianists, poverty was a practical process to overcome oneself. Especially, food is the most primitive human desire and repeats daily, and thus was very appropriate to be the subject of sugi (修己, self-discipline). Lee Seong-Ho Ik also said that "food is something that one should not miss night and day, but since overcoming oneself ought to begin from familiarity, the focus is the moderation of food." From such background, most Confucianists including Confucious himself did not pursue satiety and distanced themselves from fatty and tasty food, placing the ultimate goal of life not in bodily pleasures or desires, but in ideal values.
    Second is the table manners based on the 'spirit of solicitude.' The table manners emphasized in Confucianism is not to mass food into a big lump or to take a big bite so as to eat more than others, and not to make chewing sounds or to bite the fish bones so as to disgust others, and finally for a guest to refrain from seasoning the soup on a prepared table, as it may displease the host.
    Third is the graded differentiation of food based on 'chinchinjonjon (親親尊尊),’ the moral norm of Confucianism. ‘Chinchin’ means 'to be more friendly with the kinfolk,' and 'jonjon' means 'to respect those of higher status or age.' That is, 'chinchin' is a discipline in family or kinship, while 'jonjon' is a normative principle in social relations. This is also the greatest category of moral norm that expands in the order of sushin-jega-chiguk-pyeongcheonha. From such background, Confucianism intended to establish a graded order around food at the daily and non-daily level. For example, hyangeumjurye intended to establish the age-based order of jangyuyuseo through drinking and table manners, and gwanhonsangje intended to realize the Confucian order and harmony through graded differentiation by class and status. As such, Confucianism intended to establish order by harmonious relationships through practicing etiquettes determined based on certain rules, and establish a world of daedong (大同) that rules itself without ruling [無爲而治].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