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도가(道家)의 ‘도(道)’ 미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esthetic Sense in Chinese Minimalism Fashion -Focusing on the ‘Do’ Aesthetics of the Taoism-)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1.06
14P 미리보기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도가(道家)의 ‘도(道)’ 미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7권 / 2호 / 233 ~ 246페이지
    · 저자명 : 양정원, 이미숙

    초록

    본 연구 목적은 탈현대적 가치를 갖는 도가사상의‘도(道)’ 미학에 주목하여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내재되어 있는 미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 및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문헌 고찰을통해 서양 미니멀리즘과 이와 연관성을 갖는 ‘도’ 미학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도가적 미니멀리즘 미의식을 도출한 후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의 미의식을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2008년 이후부터 2021년까지중국문화에 노출되어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은 중국계디자이너들이 전통적 미의식을 통해서 미니멀리즘으로 재해석한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양 미니멀리즘과 상응하는 연관성을 갖는 ‘도’ 미학을 허(虛), 무위자연(無爲自然), 유(遊), 유무상생(有 無相生) 등의 미적 개념으로 대별하여 조형적 특성 및 미적 가치를 살펴본 후 도출된 도가적 미니멀리즘의 미의식은 ‘비움의 허무미’, ‘미완의 약졸미’, ‘일기적공간미’, ‘변증적 상생미’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중국의 미니멀리즘 패션에 내재된 미의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의 미니멀리즘의 ‘단순성’은 자연의 ‘본질추구’라는 특성을 내포한 ‘허’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발견되며, ‘허의 미니멀리즘적 단순성’에서 도출된 ‘비움의 허무미’는 무정형이며 일체의 꾸밈이 없는 직선형 실루엣의 간결한 형식으로 표출된다. 둘째, 미니멀리즘의‘환원성’은 ‘자연적 본질로의 회귀’라는 특성을 내포한‘무위자연’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무위자연의 미니멀리즘적 환원성’에서 도출된 ‘미완의 약졸미’는인위적 흔적을 덜어내고 자연의 본성 그대로를 전시하기 위해 천연재료의 본형을 살리려는 방법으로 표출된다. 셋째, 미니멀리즘의 ‘상황성’은 ‘절대 자유의 공간 추구’의 특성을 내포한 ‘유’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유의 미니멀리즘적 상황성’에서 도출된 ‘일기적공간미’는 비구조적 풍성한 실루엣, 천연의 질감을 갖는소재 등을 통해 표출된다. 넷째, 미니멀리즘의 ‘전체성’ 은 ‘유무대립의 관계가 상생하여 강렬한 어울림’을 내포한 ‘유무상생’의 미적 개념과 연관성이 발견되며, ‘유무상생의 미니멀리즘적 전체성’에서 도출된 ‘변증적 상생미’는 비대칭, 비균제적 조화를 통해 표출된다.
    이상으로 자연주의적 색채가 강한 도가적 미의식은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패션 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Chinese minimalism fash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Do’ aesthetics of the Taoism, which has post-modern values. As a research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books, Western minimalism and its related ‘Do’ aesthetics were examined,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oist minimalism was derived based on this, and the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inese minimalism fashion was analyzed. The scope of the study was targeted at works that were exposed to Chinese culture from 2008 to 2021 and reinterpreted as minimalism by Chinese designers who were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with a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oist minimalism, which was derived after examin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by dividing the aesthetics of ‘Do’, which has a corresponding connection with Western minimalism, into aesthetic concepts such as ‘Heo’, ‘Muwi-jayeon’, ‘Yu’, ‘Yumusangsaeng’, appeared as ‘Empty Heomu beauty’ and ‘Unfinished Yakzol beauty’, ‘Ilgijeok Space beauty’, ‘Dialectic Win-win beauty’.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Chinese minimalism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implicity’ of Western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Heo’ which implies the ‘pursuit of the essence’ of nature, the ‘Empty Heo-mu beauty’ derived from ‘Heo’s minimalistic simplicity’ is expressed in a concise form of a straight silhouette without any amorphous ornamentation.
    Second, the ‘reduction’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Muwi-jayeon’,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return to the essence of nature’ and ‘Unfinished Yakzol beauty’ derived from ‘minimalistic reducibility of Muwi-jayeon’ is expressed as a way to remove artificial traces and reveal nature.
    Third, the ‘situationality’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Yu’,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bsolute freedom space pursuit’, and the ‘Ilgijeok Space beauty’ derived from ‘minimalistic situationality of Yu’, is expressed through unstructured silhouettes and natural textures. Fourth, the ‘wholeness’ of minimalism is found to be related to the aesthetic concept of ‘Yumusangsaeng’ that implies ‘intense harmony due to the coexistence of relationships’, and ‘Dialectic Win-win beauty’ derived from the ‘Yumusangsaeng’ of the aesthetics of the ‘existence-free coexistence’ is expressed through asymmetric and non-uniform harmony.
    As mentioned above, the Taoist aesthetic with strong naturalistic color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