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각장애인의 근무만족도와 관리자의 고용만족도 조사 -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a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Work Satisfaction and a Manager's Employment Satisfac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8.10
34P 미리보기
청각장애인의 근무만족도와 관리자의 고용만족도 조사 -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장애와 고용 / 18권 / 2호 / 83 ~ 116페이지
    · 저자명 : 성민아, 정은희

    초록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근무만족도와 청각장애인을 고용한 고용주 또는 관리자의 고용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청각장애인 29명 관리자 1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청각장애인의 근무환경에 대한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인은 대부분이 50인 이상의 사업장에서 월급제로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구직은 친구나 선후배를 통해 하고 있고, 정확한 출퇴근시간과 휴일보장이 근무조건의 1순위이면서 동시에 가장 큰 이직사유이기도 하였다. 이직은 1-2번 정도 있었고 이직 시 친구나 선후배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직업훈련 경험이 직무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느끼고 있으나 직업훈련 경험이 적으므로 체계적인 직업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고용환경으로 관리자들은 대부분 장애인 고용의무제를 계기로 채용을 하고 있으며, 청각장애인의 고용에 대해서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만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고용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는 점은 학교직업교육에서도 관리자들의 요구와 필요를 파악하여 직업능력을 개발하고 인간관계 기술과 적응지도를 심화시켜 좀 더 현장에 부합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셋째, 보수와 안전시설, 복지, 전반적인 만족도 면에서 종사자들은 만족하고 있었고, 관리자 역시 적정하다고 보고 있는 점이 상호 부합되고 있다. 다만 근무시간과 휴무보장에 대해서는 종사자와 관리자가 다소 다른 평가를 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신중한 검토를 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관리자의 청각장애 종사자에 대한 요구를 보면 고졸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동료와 상사와의 원활한 관계형성과 언어능력을 요구 하였으며 취업 전 진로상담과 직업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학교와 직업훈련기관에서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직업전 교육과 의사소통 능력 배양, 인성교육 등을 통해 단순노무와 생산으로 제한된 직종과 업무를 넓힐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n this research I grasp company's object which plan to employee a person with hearing impaired and improvements after employment to maintain employment security so researches manager's satisfaction and a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desire after employment and education of human nature and vocational training before employment and present work condition for them so I hoped to be an indication for improvement of work condition. The object of subjects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from 29 person with hearing impaired who works on and 19 managers on 9 company excluding company which had closed and bankruptted. The conclusion from the research are below. First, in case of a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work satisfaction, choice condition was narrow from choice of a types of business to be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Most respondent were work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a way of looking for job was not various just choose a job by friends or seniors and juniors. Also reason of defections by overwork and holiday work was high so work time and holiday is important factor on holding down a job. The overall of work satisfaction was good and had a positive mind about manger's concern, safety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and consult with manager when in trouble. On the one hand experience on vocational training was helpful to work so they need educational system before a job and vocational training. Secondly, managers were satisfied mostly on a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employment and had a extra plan to employee them. They had a positive mind on communications, refered a institution and a special school for employment and satisfied with skill of work. Employer and manager who employee a person with hearing impaired require a high school graduate and making a good relation with a manager and a fellow and linguistic ability. To develop making a good relation and linguistic ability requires person's with hearing impaired effort by oneself and effective seat arrangement and a regular counsel and manager or employer's continuous concern and elevation on conversation by writing will lead to more good work activity. Also manager said that one´s course counsel and vocational training must be proceeded before employ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애와 고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