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권도 경기 공격 패턴 분석 (An Analysis of Taekwondo Match Attack Patter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9.12
11P 미리보기
태권도 경기 공격 패턴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과학원
    · 수록지 정보 : 체육과학연구 / 20권 / 4호 / 767 ~ 777페이지
    · 저자명 : 최완용, 최형준, 홍성진

    초록

    이 연구는 경기력 향상의 객관적 자료제공을 위해 태권도 경기의 공격패턴을 분석하는데 있다. 2008년 9월 성남에서 열린 제 17회 국방부 장관기 태권도 대회의 남자대학부 및 일반부 경기 중, 체급별 15경기씩 8체급, 총 120경기를 대상으로 한 이 연구는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고, 영상을 촬영하여 제작된 기록지로 분석하였다. 체급별 공격단계, 승자와 패자에 따른 체급별 공격유형, 승자와 패자에 따른 공격패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공격횟수는 1회 공격회수가 2742회(70.3%)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2회 공격 횟수는 892회(22.9%), 3회 공격은 201회(5.2%), 4회 공격이상은 65회(1.7%)로 나타났다. 1회 공격과 2회 공격을 합하면 93.2%로 대부분의 공격이 2단계까지만 시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핀급, 페더급, 헤비급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체급별 승자와 패자에 따른 공격단계를 살펴보면 헤비급을 제외한 7개 체급에서 1단계 공격은 승자집단이, 2단계 공격은 패자집단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승자와 패자에 따른 체급별 공격유형의 차이는 모든 체급에서 선제공격의 비율이 받아차기 보다 많았다. 승자와 패자에 따른 공격유형은 선제공격의 경우, 승자집단의 비율(50.6%)이 패자집단의 선제공격 비율(67.2%)보다 낮았으며 받아차기의 경우, 승자집단(49.4%)이 패자집단(32.8%)보다 더 많이 시도하였다. 승자집단의 선제공격 빈도가 많게 나타난 헤비급을 제외한 7개 체급에서는 전체적인 성향과 일치하였다. 웰터급과 헤비급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6개 체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급별 공격패턴을 분석한 결과 전 체급에서 중단돌려차기, 중단발붙여차기, 중단돌려차기-중단돌려차기 등 3가지 패턴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체급별 10회 이상 빈도가 나타난 공격기술은 위의 3가지 패턴을 포함하여 각각 10가지 이하였으며 규칙개정 이후 2득점이 가능한 상단 공격은 반복되는 패턴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첫째, 대부분 단발성 공격으로 그치면서 심각한 시도기술의 편중현상이 나타나고, 승자와 패자에 따른 공격유형의 경우, 승자집단이 선제공격비율이 적은 반면 받아차기의 비율이 높은 것은 1회공격 위주의 받아차기로 대응하며 상대에게 취약점을 노출하지 않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체급별 승자와 패자의 공격패턴은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좀 더 다양한 기술과 패턴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고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 따라 경기를 분석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위의 연구방법을 토대로 각각의 선수를 분석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aekwondo attacking patterns for offering the objective data for enhancement of performance. 15 matches of each weight-categor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which of totally 120 matches in university level men's performances on the 17th National defense department’s Taekwondo championships. The literature reviews with relevant researches keened to find the valid performance indicators, and then the data was collected by designed record sheet. The performance indicators used in the study were types of attack skills on attacking attempt situations, attempt’s skills on different orders, the numbers of attacking, attack skills by winners/ losers and attacking patterns by winners/losers.
    Firstly, 1st attack was 2,742 times (70.3%) as the most commonly attempted. and 2nd attacks were 892 times (22.9%). 3rd attacks were 201 times (5.2%) and more than 4 attacks were found only 65 times (1.7%). Thus, the 93.2% of total attacks (1st and 2nd attacks) seemed to be the most common numbers of frequencies on the attacks.
    Secondly, according to the attack pattern between winner and los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7 weight-categories excepted finweight, featherweight and heavyweight. Additionally, it was shown that winner group used the 1st attack more than the loser groups. However, the loser group used the 2nd attack more than the winner group.
    Thirdly, there were difference on the attacking types between winner and loser that the head start of attacks was shown greater than the reflective attacks. The head start of attacks by the winners’ (50.6%) was less than losers’ (67.2%). Besides, the reflective attacks by the winners’ (49.4%) were greater than losers’ (32.8%). The 6 weights excluding welter and Heavy weight-categories were found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p<.05). Fourthly, the results were shown that the Middle Dollyo Chagi, Middle Balbuchyeo, and Middle DollyoChagi - Middle Dollyo Chagi were the most commonly used. The attack’s patterns found contained more than 10 different actions including 3 attack patterns, but some attack skill could give 2 points at once were not often used.
    The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on the development of variety skills/patterns, the methodologies for the analysis and the computerized system to collect data effici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체육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