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술 성숙도 및 의존도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유망 융합 기술 발굴 방법론 (Discover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Using Network Analysis of Maturity and Dependency of Technolog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8.03
24P 미리보기
기술 성숙도 및 의존도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유망 융합 기술 발굴 방법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능정보연구 / 24권 / 1호 / 101 ~ 124페이지
    · 저자명 : 최호창, 곽기영, 김남규

    초록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기존 기술들의 융합(Convergence)을통해 형성되고 있다. 또한 가까운 미래에 출현하게 될 유망한 융합 기술을 예측함으로써 변화하는 기술 지형에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많은 기관과 연구자들은미래 유망 융합 기술 예측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i) 고정된기술 분류 기준을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기술 분야의 동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 (ii) 예측 모형 수립 과정에서 주로 범용성 네트워크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기술의 융합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고유 특성을 활용하지못했다는 점, 그리고 (iii) 유망 분야 예측 모형의 정확성 평가를 위한 객관적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 등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 토픽 모델링을 통해 기존의 고정된 분류 기준이 아닌 실제 기술시장의 동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기술군을 도출하고, (ii) 기술 성숙도 및 기술군 간 의존 관계에 따라 각 기술군의 융합적 특성을 반영하는 잠재 성장 중심성(Potential Growth Centrality) 지표를 산출하였으며, (iii) 잠재 성장 중심성에 근거하여 예측한 유망 기술의 성숙도 증가량을 시기별로 측정하여 예측 모형의 정확도를 평가하는방안을 제시한다. 이와 더불어 제안 방법론의 성능 및 실무 적용 가능성의 평가를 위해 특허 문서 13, 477건에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한 잠재 성장 중심성에 따른 예측 모형이 단순히 현재 활용되는 영향도 기반의 예측 모형에 비해 최대 약 2.88배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Recently, most of th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rough the advancement of single technology or interaction with other technologies. Particularly, these technologies have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vergence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techniques. In addition, efforts in responding to technological changes by advance are continuously increasing through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that will emerge in the near future.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many researchers are attempting to perform various analyses about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A convergence technology has characteristics of various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eneration. Therefore,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is much more difficult than forecasting general technolog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Nevertheless, some achievements have been confirmed in an attempt to forecasting promising technologies using big data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tudies of convergence technology through data analysis are actively conducted with the theme of discovering new convergence technologies and analyzing their trends. According that, information about new convergence technologies is being provided more abundantly than in the past. However, existing methods in analyzing convergence technology have some limitations. Firstly, most studies deal with convergence technology analyze data through predefined technology classifications. The technologies appearing recently tend to hav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and thus consist of technologies from various fields. In other words, the new convergence technologies may not belong to the defined classification. Therefore, the existing method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dynamic change of the convergence phenomenon.
    Secondly, in order to forecast the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most of the existing analysis method use the general purpose indicators in process. This method does not fully utilize the specificity of convergence phenomenon. The new convergence technology is highly dependent on the existing technology, which is the origin of that technology. Based on that, it can grow into the independent field or disappear rapid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ependent technology. In the existing analysis, the potential growth of convergence technology is judged through the traditional indicators designed from the general purpose. However, these indicators do not reflect the principle of convergence. In other words, these indicators do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technology, which brings the meaning of new technologies emerge through two or more mature technologies and grown technologies affect the creation of another technology.
    Thirdly, previous studies do not provide objective methods for evaluating the accuracy of models in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In the studies of convergence technology, the subject of forecasting promising technologies was relatively insufficient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fiel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ind a metho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odel that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In order to activate the field of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method for objectively verifying and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model proposed by each stud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propose a new method for analysis of convergence technologies. First of all, through topic modeling, we derive a new technology classification in terms of text content. It reflects the dynamic change of the actual technology market, not the existing fixed classification standard. In addition, we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ies through the topic correspondence weights of each document, and structuralize them into a network. In addition, we devise a centrality indicator (PGC, potential growth centrality) to forecast the future growth of technology by utilizing the centrality information of each technology. It reflects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each technology, according to technology maturity and interdependence between technologies. Along with this, we propose a metho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forecasting model by measuring the growth rate of promising technology. It is based on the variation of potential growth centrality by period.
    In this paper, we conduct experiments with 13,477 patent documents dealing with technical content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d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forecast model based on a centrality indicator of the proposed method has a maximum forecast accuracy of about 2.88 times higher than the accuracy of the forecast model based on the currently used network indica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능정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