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라도 무장현 안동김씨의 家風과 道巖書院의 위상 (The Family tradition of Andong Kim Clan and the status of Doamseowon in Mujang-hyeon, Jeolla-do)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5.03
39P 미리보기
전라도 무장현 안동김씨의 家風과 道巖書院의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73호 / 265 ~ 303페이지
    · 저자명 : 이선아

    초록

    이 글은 전라도 무장현에 세거하고 있는 안동김씨의 내력과 가풍에대해 살펴보고, 안동김씨의 효자와 충신이 배향된 도암서원의 지역적위상에 대해 조명하고자 한다.
    현재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공음면에 위치한 도암서원은 1613년(광해 5)에 창건되었다. 도암서원은 안동김씨의 효자 영모당 김질을 배향한 도암사에 그의 증손 은송당 김경철과 현무재 김익철이 추향되면서서원의 위격을 갖추었다.
    전라도 무장에 세거하고 있는 안동김씨는 조선개국공신 김사형의 현손 김을만의 후손이다. 김을만은 기묘사림과 정치적으로 불화하였던김안로와의 갈등을 계기로 무장에 낙향하였다. ‘낙향 사림’으로서 그의처세는 무장 안동김씨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김을만의 손자 김질의 효행이 알려져 조정에서 정려를 내렸으며, 그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도암사가 건립되었다.
    김질의 탁이한 효행은 1617년(광해 9)에 간행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 등재되었다. 세종 연간에 『삼강행실도』가 편찬되어 보급된 이후, 부모상의 시묘는 대표적인 효행으로 인식되었지만 조부모상[承重喪]에시묘살이는 드물었다. 그런데 김질은 부모상과 조부모상까지 무려 12 년 동안 시묘를 통해 효를 실천하였던 것이다.
    김질의 학식과 효행은 그의 증손 은송당 김경철과 현무재 김익철에게 이어졌다. 김경철과 김익철은 『호남절의록』의 ‘갑자의적(甲子義蹟)’ 과 ‘대가호종제공사적(大駕扈從諸公事蹟)’에 각각 수록되었다. 특히 선무원종공신에 책봉된 김익철은 무장현을 대표하는 충신으로 현양되었다. 1728년과 1788년 두 차례의 시도 끝에 무장현과 인근 고을의 공론에 의해 김경철과 김익철은 도암서원에 추향되었다.
    19세기 중반에 도암서원은 무장현의 ‘충효’를 상징하는 서원으로서 위상을 확립하였으나 대원군의 집권에 따른 대대적인 서원철폐령에 의해훼철되었다. 서원 훼철된 이후 안동김씨는 무장현에 세거하는 대표적인사족으로 노사학파의 기우만과 화서학파의 최익현 등과 교유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history and family tradition of the Andong Kim Clan, who lived in Mujang-hyeon, and to reveal the regional status of Doamseowon, which honors Confucian ethical figures produced by the Andong Kim clan.
    Doamseowon, currently located in Gongeum-myeon, Gochanggun, Jeollabuk-do, was established in 1613. Doamseowon was built to commemorate Kim Jil, a native of the Andong Kim clan who practiced a very special filial piety. Since then, his great-grandchildren Kim Kyung-chul and Kim Ik-chul have been memorialized. In the process, an auditorium was built to establish the status of a seowon. However, it was abolished in 1868 due to the massive abolition of the seowon, but was later rebuilt and its name continues to be preserved.
    The Andong Kim clan residing in Mujang are descendants of Kim Sa-hyung, a contributor to the Joseon Dynasty. One of his descendants, Kim Eul-man, moved to Mujang and settled there for generations. Over time, the Andong Kim clan grew into a prominent family representing Mujang-hyeon.
    n particular, the remarkable filial piety of Kim Eul-man’s grandson, Kim Jil, became widely known, leading to the erection of a state-sponsored monu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Doamseowon. Kim Jil demonstrated such extreme filial devotion that he lived by the graves of his deceased parents and grandparents, serving them as if they were still alive. His filial piety was so noteworthy that it was recorded in an ethics book published by the state in 1617.
    Kim Jil’s legacy of filial piety was carried on by his greatgrandchildren, Kim Kyung-chul and Kim Ik-chul, who were listed in Honamjeoluirok. When Yi Gwal revolted, Kim Kyungchul gathered righteous soldiers to oppose him. During the Imjin War, Kim Ik-chul was appointed as a Seonmuwonjong meritorious retainer for escorting the evacuating king. In this way, the Andong Kim clan became a representative family of Mujang-hyeon, exemplifying Confucian eth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