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하다.박걸남 인물전설이 지닌 가치와 삼척학 콘텐츠로서의 근거는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 (1605)에 전거하는 바 크다. 삼척박걸남묘역이 강원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 되는 과정에도 이 사료의 기록이 큰 영향을 미쳤다. 삼척박걸남묘역 문화재지정보고서에 따르면 선무원종공신녹권 의 2등공신 명단에 ‘부정 박걸남(副正朴傑男)’이 등재되어 있 ... 다고 한다. 그런데 선무원종공신녹권 판본들을 대조한 결과 그 이름을 확인할 수 없었다. 박걸남 설화를 진정한 문화콘텐츠로 전유하기 위해서라도 다각도의 대비를 통해 엄정히 보완
되었다. 특히 선무원종공신에 책봉된 김익철은 무장현을 대표하는 충신으로 현양되었다. 1728년과 1788년 두 차례의 시도 끝에 무장현과 인근 고을의 공론에 의해 김경철과 김익철 ... 되면서서원의 위격을 갖추었다.전라도 무장에 세거하고 있는 안동김씨는 조선개국공신 김사형의 현손 김을만의 후손이다. 김을만은 기묘사림과 정치적으로 불화하였던김안로와의 갈등을 계기로 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