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림의 장시 「기상도(氣象圖)」(1936)는 식민지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 왜곡된 근대화와 그 모더니티의 문제성을 풍자적 시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특히 서구 제국주의의 동양(중국)에 대한 침략과 그 지배의 현장을 시적 배경으로 채택함으로써 식민지 현실에 대한 그의 비판적 인식의 방향이 탈식민주의적 시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김기림은 그의 「시론」에서 장시의 현대적 성격에 대해 ‘어떠한 점으로 보아 더 복잡다단하고 굴곡이 많은 현대문명은 그것에 적합한 시의 형태로서 차라리 극적 발전이 가능한 장시를 환영하는 필연적 요구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기상도」에서는 기존의 장시 구성에서 핵심적인 요소가 되었던 서사성을 최대한 제거하면서 태풍의 발생과 그 이동 경로를 따르는 극적 장면의 전환과 역동적인 변화를 통해 시적 긴장을 살려낸다. 실제로 이 작품은 그 내용이 어떤 인물을 중심으로 줄거리를 가지는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서구 제국의 동양 진출과 문명의 혼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태풍의 발생과 소멸이라는 자연 현상에 빗대어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김기림은 「기상도」를 모두 네 차례에 걸쳐 잡지 『중앙』(1935년 5월~12월)에 연재하면서 이 작품의 구상에 대해 “한 개의 현대의 교향악을 계획한다. 현대문명의 모든 면과 능각(稜角)은 여기서 발언의 권리와 기회를 거절당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무모 대신에 다만 그러한 관대만을 준비하였다.”라고 짤막하게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밝히고 있는 ‘현대의 교향악’이라는 비유적인 표현은 그 의미가 분명하지는 않다. 하지만 ‘현대 문명의 모든 면’에 대한 발언의 권리와 기회를 주장하고 있는 것을 보면 이 말 속에 현대 문명에 대한 시인의 인식이 담길 수 있다는 것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기상도」의 시적 텍스트에서 1-2부는 태풍이 내습하기 이전의 상황, 3-5부는 태풍이 발생하여 이동하면서 항구와 도시를 강타하는 과정과 그 파괴적 위력, 6-7부에서는 태풍이 휩쓸고 지나간 이후의 상황을 그려놓고 있다. 여기서 태풍이 발생하기 직전부터 태풍의 발생과 이동, 대륙으로의 진출과 그 소멸에 이르는 짧은 기간이 긴박한 상황 변화를 드러내는 시간적 배경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태풍의 발생에서 그 소멸에 이르는 이동 경로를 통해 공간적 배경의 변화를 보여주면서 거대한 자연의 위력과 그 작동의 범위를 실감있게 그려내고 있다.
「기상도」에서 ‘기상도’라는 제목은 이름 그대로 일기의 변화를 예측하여 지도상에 그려 보이는 상상의 지도를 말한다. 이 지도는 일기도라는 이름으로 기압골의 배치를 표시하는 몇 개의 기호와 등고선이면 전체적인 기후 변화를 알려준다. 그러나 실제의 인간이 자리잡고 있는 삶의 현실은 지도 위에 예측하여 표시하는 기상의 변화처럼 그렇게 단순하게 지역별 특징을 그려낼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기림은 태풍이 발생하여 그것이 이동하는 경로를 예상해 두고, 그 태풍이 육지로 상륙하여 도시를 휩쓰는 장면을 시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구체적으로 그려보고자 한다. 실제로 「기상도」는 서구 제국주의 식민지 지배를 받고 있는 마카오와 홍콩이 대자연의 원리에 따라 태풍의 위력에 휩쓸려가는 모습을 생생하게 드러난다. 이 상상적 그림은 사실 ‘기상도’라는 가상의 지도 위에서만 가능한 것이지만, 굴욕을 참고 지내온 식민지 조선의 시인만이 가질 수 있는 일종의 비판적 역사의식의 투영이라고 할 만하다.
「기상도」에 드러나 있는 식민주의에 대한 비판적 의식은 이 작품에서 태풍의 경로로 설정하고 있는 지리적 배경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전제하지 않고서 그 명확한 해석이 가능하지 않다. 이 시에서 태풍의 발생 지점은 필리핀 루손 섬 북서쪽에 자리한 바기오(Baguio)의 동쪽 해상이다. 시적 텍스트에는 그 위도가 적도 근처인 북위 15도로 표시되고 있다. 시의 내용을 따라가 보면 바기오의 동쪽 남태평양 해상에서 발생한 태풍은 엄청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한 채 바시 해협을 통과한 후 중국 대륙으로 북진한다. 이 상륙 지점이 바로 마카오 홍콩 일대라는 것은 시의 내용 속에서 암시된다. 태풍은 마카오와 홍콩 일대의 시가지를 휩쓸고는 내륙으로 올라가면서 엄청난 위력으로 ‘세기의 밤중에 버티고 일어섰던 / 오만한 도시를 함부로 뒤져 놓고’ 소멸한다. 이 작품에서 태풍의 내습으로 파괴되는 마카오 홍콩 지역은 서구 제국주의의 동양 진출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마카오는 1557년 포르투갈 정부가 실질적인 사용권을 인정받고 도시를 건설한 후 포르투갈의 동양 진출을 위한 거점이 되었으며, 오랜 동안 포르투갈 정부가 임명하는 총독의 통치 아래에서 ‘아시아의 작은 유럽’이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서구화되었다. 홍콩의 경우는 아편전쟁(1840-1842) 후 청국과 영국 사이에 체결된 난징조약(南京條約)에 따라 홍콩 섬이 영구 할양되면서 영국의 지배를 받아왔다. 이와 같이 마카오와 홍콩 일대는 중국 대륙의 남단의 한 지점에 불과하였지만 서구 제국의 동양 지배의 상징적 거점이 되었으며, 식민지 지배라는 정치 사회적 조건 속에서 서구 자본주의의 체제가 최초로 자리 잡은 동양 속의 작지만 거대한 유럽으로 성장했던 것이다.
장시 「기상도」의 공간적 배경이 마카오와 홍콩 일대라는 점, 특히 이 지역의 역사적 변천과 그 지리적 조건을 염두에 두고 이곳을 거대한 태풍이 휩쓸고 지나가는 길목으로 정해놓았다는 사실은 주목을 요한다. 이 시에서 태풍의 발생과 이동, 그리고 그 소멸의 과정은 거대한 자연의 힘의 원리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태풍은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나고 스스로 그 힘을 잃고 소멸한다. 이 자연의 힘 앞에서 인간이 만들어낸 문명이라는 것은 속수무책이며 보잘 것이 없다. 서구 제국의 야욕에 의해 강요된 지배 질서가 문명이라는 이름으로 그 위용을 자랑하던 곳이 동양 속의 작은 유럽으로 추켜세워진 마카오와 홍콩이다. 「기상도」의 시인은 더 이상 이러한 불균형과 부조화의 기압 배치를 자신이 그리고자 하는 ‘기상도’에서 용인하고 싶지 않았을지 모른다. 그렇지 않고서는 ‘잠자코 있을 수 없다’면서 태풍이라는 자연의 힘을 빌려 도시 공간을 휩쓸어 버리게 만든 것을 달리 설명할 방법이 없다. 지배와 굴종의 현실을 숨겨둔 채 겉으로만 화려하게 문명이라는 탈을 쓴 모든 것이 인간의 삶에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이 굴욕의 현장을 지구상에서 쓸어내야 하겠다는 이 어마어마한 상상적 시도를 모더니스트의 무모한 시도라고 탓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장시 「기상도」는 1930년대 중반 불안한 국제 정세의 급격한 변화 과정을 ‘태풍’의 발생과 그 소멸을 추적하는 과정에 빗대어 비판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에서 시인이 급변하는 국제 질서와 문명의 충돌과 그 붕괴를 예견하는 하나의 ‘기상도’를 상상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물론 이 같은 시적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정치 현실에 대한 지정학적 관찰과 문명 비판은 그것이 어느 정도 관념의 유희를 벗어나고 있느냐에 따라 그 성패가 판가름된다. 이 작품에서 시도하고 있는 풍자와 비판, 야유와 조소 등은 시상의 전개와 그 변주를 긴장감 있게 이끌어가는 데 필요한 시적 어조의 변화에 크게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을 통해 시인이 형상화하고자 한 시적 주제의 폭이 너무 넓고 지나치게 추상적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가 없다. 시적 의미의 전개에서 있어서의 일관성의 결여라든지 시적 진술의 불균형 등을 지적했던 기존 연구자들의 불만이 일정 부분 수긍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기상도」의 결말에서 드러나고 있듯이 시인이 꿈꾸고 있는 밝은 ‘태양’의 힘은 대자연의 원시적 생명력과 그 질서라는 거대한 원리 위에서 작동하고 있다. 이것은 식민지에 대한 제국주의의 횡포와 억압에 대응하고자 하는 시인의 의지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동시대의 시인 이상이 연작시 「오감도」를 통해 상상적으로 펼쳐보였던 현대문명에 대한 공포 역시 이와 비슷한 구도를 보여준 바 있다. 「기상도」는 제국주의 탈을 쓰고 있는 냉혹한 자본주의의 질서에 대한 시인의 비판의식을 ‘기상도’라는 상상의 그림 위에 펼쳐 보이고 있는 셈이다. 이것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 현실의 한국적 특수성을 문명사적인 차원으로 끌어올려 보편적 시각에서 그 문제성을 규명하고자 했던 모더니스트의 발상과 기획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소홀히 다룰 수 없는 일이다. 장시 「기상도」에 숨겨진 탈식민주의적 관점이 새롭게 강조되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Gim Gi-rim's long poem Weather Map (Gisangdo)(1936) is a satirical representation of Korea’s modernization, developed in a distorted manner under colonial circumstances, and the problems of modernity. Gim’s adoption of Western imperialist aggression towards the East (China) as the poem’s background, and its depictions of its dominance, means that his critical consciousness of colonialism can be expanded by a post-colonial perspective. In Poetics (Siron), he said of the modern character of the long poem: “the form seems suited, in some ways, to the convoluted and winding nature of modern civilization and should be welcomed for its potential for dramatic development.” Weather Map creates poetic tension by eliminating, as much as possible, the narrative character that is usually the key element in long poems, through dramatic scenes of dynamic change as a typhoon arises and moves along its course. In fact, this work is not a story whose contents center around a person. Critical awareness of the Western empire's entry into the East and resulting confusion of civilization is poetically shaped by comparison to the natural phenomenon of a typhoon’s generation and extinction.
Gim wrote Weather Map in four installments appearing in the magazine Central (Jungang) between May and December 1935. Gim said briefly that he planned it as a ‘modern symphony’ wherein the “right and opportunity of speech” would not be rejected in expressing “every aspect and contour of modern civilization”. He added, “Instead of recklessness, I introduced generosity.” The meaning of the metaphor ‘modern symphony’ is not clear. However, the poet’s understanding of modern civilization can be inferred from his perception of the right and opportunity to speak about 'every aspect of modern civilization'. The first and second parts of Weather Map describe the time before the invasion of the typhoon; the third, fourth and fifth parts describe the typhoon and its destructive power as it rises, moves, and attacks ports and cities; and the sixth and seventh parts describe conditions after the typhoon has passed. Here, the short period from just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typhoon, its occurrence and movement, its advancement into the continent and dissipation serves as the temporal background revealing a series of urgent changes. Furthermore, the typhoon’s movement, from its initial occurrence to its extinction, in showing changes in the spatial background, also marks the power of nature and the scope of its operation.
The poem’s title, Weather Map, refers to an imaginary map on which is drawn predictions about changes in the weather. The map shows the overall climate changes with several symbols and contour lines indicating the layout of the pressure trough. However, the realities of life which real human beings inhabit cannot depict regional characteristics like weather changes predicted and displayed on the map. Nonetheless, using his poetic, imaginative powers, Gim predicts the rise of the typhoon and its path of movement, seeks to illustrate concretely scenes where the typhoon moves into the continent and engulfs the cities. In fact, Weather Map vividly depicts Macao and Hong Kong, then under the control of Western imperialist colonies, being swept away by the power of the typho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nature. This imaginary picture is in fact only possible on a virtual Weather Map, but it is a projection of a critical historical consciousness that could only be had by a poet of colonial Joseon enduring the humili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colonialism revealed in Weather Map cannot be interpreted clearly without presupposing a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geographical background represented as the path of the typhoon in the work. The typhoon in the poem occurs in the eastern sea of Baguio, northwest of Luzon Island, Philippines. In the poem’s text, the latitude is displayed at 15 degrees latitude north of the equator. If one follows the poem, the typhoon that occurred in the South Pacific Ocean to the east of Baguio passes through the Straits of Bashi accompanied by tremendous winds and heavy rainfall, and then heads north to China. It is implied in the poem that the landing spot is the area of Macao and Hong Kong. After the typhoon sweeps the cities of Macao and Hong Kong, it moved inland, where with tremendous power it “probes the arrogant cities and towns / that had held strong against the deep night of the century,” then is extinguished. In the work, Macao and Hong Kong, destroyed by the typhoon invasion, are spaces symbolizing the encroachment of Western imperialism. Macau was built by the Portuguese and became a base for Portuguese expansion into the East after the Portuguese government was granted the right to use it in 1557. It was very Westernized, to the extent it was for a long time nicknamed ‘Little Europe of Asia’ under the rule of the governor appointed by the Portuguese government. In the case of Hong Kong, after the Opium War (1840-1842), Hong Kong Island was permanently controlled by the British in accordance with the Nanjing Treaty concluded between the Qing and Britain. Thus, the area of Macao and Hong Kong, while only one point in the southernmost part of the Chinese continent, became the symbolic base of Western rule in East Asia, growing as a small yet massive outpost of Western capitalist system in the region amidst th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of colonial dominatio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 long poem Weather Map is Macao and Hong Kong, and that these were set as a pathway for a huge typhoon to pass through, especially considering the historical changes an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area. In this poem, the emergence and movement of the typhoon and the process of its extinction follow the principles of great natural forces. The typhoon forms by its own power, loses its power, and disappears. The civilization created by human beings before this natural power is one of helplessness and worthlessness. Macau and Hong Kong, set up as small European outposts in the East, were where the dominant order imposed by the Western empire's ambition was proud of its virtues in the name of civilization. The poet of Weather Map may have no longer wanted to tolerate this imbalance and disharmonic atmospheric arrangement in his Weather Map. Otherwise, there is no way to explain the line, “I cannot stay silent”, and his borrowing of the natural force of a typhoon to help sweep the urban spaces. What meaning is there to human life in which the realities of domination and submission are hidden, while wearing a mask of civilization on the surface? There is no need to blame this immense imaginative attempt to sweep the humiliating scene off the face of the earth as a modernist's reckless venture.
The long poem Weather Map critically portrays the rapid changes in the unstabl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mid-1930s, comparing it to tracking the occurrence and disappearance of a “typhoon". The poet’s imagining a Weather Map that predicts a collision between the rapidly-changing international order and civilization, and its collapse, is remarkable. Of course, the geopolitical observation and criticism of civilization on which Gim’s poetic perception is based, succeeds or fails to the extent it escapes from the play of ideas. The satire, criticism, booing and scoffing that the work attempts to represent, succeed largely for the changes in poetic tone exhibited in the poem, changes in tone necessary to the development of the poetic images and their variations and to suffuse them with the appropriate degree of poetic tension. At the same time,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poetic theme the poet aims for in the work is too broad and too abstract. This has resulted in a partially-justified dissatisfaction, often exhibited by researchers who point out lack of coherence in the development of his poetic meanings and imbalance in his poetic statements.
As revealed in the conclusion of Weather Map, the power of the bright sun, of which the poet dreams, operates according to nature’s primitive vitality and the great principles of the natural order. This can be said to be directly linked to the poet's will to respond to the tyranny and oppression of imperialism over the colonies. The terror of modern civilization imagined by the contemporaneous poet Yi Sang in his poem Bird’s Eye View (Ogamdo, 1934) shows a similar composition. Weather Map unfolds its poetic critique of the cruel capitalist order masked as imperialism, through an imaginary picture, a weather map. Of keen importance is its introduction at the civilizational-historical level of Korean specificity amidst the realities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understanding of its meanings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This, above all, is why the postcolonial viewpoints hidden in the long poem Weather Map should be newly emphas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