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우주력(宇宙曆)과 정치에 대한 새로운 관념: 경세지장(經世指掌)과 황극일원도(皇極一元圖)를 중심으로 (New theoretical ideas on time and politics in cosmological calend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Gyeongse jijang(經世指掌) and Hwanggeuk ilwondo(皇極一元圖))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2.09
37P 미리보기
조선후기 우주력(宇宙曆)과 정치에 대한 새로운 관념: 경세지장(經世指掌)과 황극일원도(皇極一元圖)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21권 / 2호 / 73 ~ 109페이지
    · 저자명 : 소진형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18세기에 저술된 우주력인 홍계희의 경세지장(經世指掌)과 황극일원도(皇極一元圖)의 검토를 통해 두 역서(曆書)에서 드러나는 정치에 대한 상반된 관점을 정치철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북송대(北宋代) 상수학자(象數學者) 소옹(邵雍, 1011-1077)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를 사상적 전제로 한 두 역서는 기본적으로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하나의 세계가 열렸다 닫히는 129,600년이라는 시간을 전제로 조선이 어떤 정치적 변화를 겪고 있는지를 역사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라든지, 시간의 질적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 것 등은 양자가 공유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역서의 “경세”와 “황극”이라는 제목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나듯이 홍계희와 서명응은 변화에 대응하는 정치적 주체와 방법, 그리고 변화에 대한 규정에서 서로 다른 관점을 보인다. 홍계희에게 좋은 정치는 변화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임에 반해 서명응은 변화는 극복가능한 것으로 점점 안 좋은 쪽으로 변화하는 시대를 왕이라는 정치주체의 결단으로 좋은 쪽으로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두 텍스트의 시간의 속성에 대한 이해가 정치에 대한 인식과 어떻게 관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해 18세기 후반 통치와 왕의 속성에 대한 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two cosmological calendars of late eighteenth-century Joseon, Hong Gye-hee’s Gyeongsejijang and Seo Myeong eung’s Hwanggeuk Ilwondo, in light of their divergent views on time and politics. Since their theoretical foundation was Shao Yong’s (1011-1077) Learning of Image and Number, the calendars shared many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Shao Yong’s thesis, they patterned the 129,600-year period during which a world opens and closes and provided historical explanations on the stage Joseon was in and the political transformation Joseon was undergoing. However, as opposed symbolically by the names “Gyeongse ” and “Hwanggeuk,” Hong and Seo displayed divergent political ideas on time, politics, and the means of regulating the change they faced. Seo maintained that the change was predictable, so if a king made a sound political decision, he could turn the bad into the good. Hong, on the other hand, viewed the change as unavoidable and equated good politics with acquiescing to it.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ext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time and their divergent political perspectives, and explains the meaning of governing and the role of king in the late 18th century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