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불교 의식과 승려의 소임 분화: 甘露圖와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Buddhist Rituals and the Division of Monks’ Roles during the Joseon Period: A Study Focusing on Buddhist Gamnodo (甘露圖) Paintings and Related Literary Record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6.12
39P 미리보기
조선시대 불교 의식과 승려의 소임 분화: 甘露圖와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1호 / 253 ~ 291페이지
    · 저자명 : 정명희

    초록

    조선시대 의식의 대중화는 사찰의 여러 측면에 변화를 가져왔다. 주전각이 불세계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공간에서 다각적인 의식의 수요에 부합하도록 내부에 의례를 위한 壇을 갖추고, 主佛殿과 樓를 중심으로 中庭이 형성되어 야외 의례 공간이 정착된 것은 대표적인 예이다. 신앙 활동에서 의식이 비중이 커지면서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변화와 별개로, 운영상의 변화도 나타난다. 16세기 이후 간행된 의식집에서는 사찰의 일상적인 조직과 별개로 의식을 수행하기 위한 소임의 분화가 확인된다. 水陸齋나 預修齋와 같은 의식을 개최하기 위해서는 여러 날에 걸친 사전 준비가 필요했다. 僧俗을 막론하고 많은 인원이 참여했는데, 한 사찰의 구성원만으로 준비되는 경우도 있었겠지만, 대게의 경우 승려의 門中 등 師僧關係에 기반한 협력이 필요했다. 조선시대 간행된 불교의식집에는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절차를 통일하고 설비에 필요한 물품을 갖추려는 노력과 더불어 의식을 준비하는 소임을 체계화하고 의식승이 갖춰야 할 덕목과 절차의 의미를 전달하는 내용이 중요한 한 축으로 수록된다.
    사찰의 원력이 총동원되어 준비되고 적법한 절차에 의해 봉행되는 불교의식의 장면은 조선시대 특징적인 장르인 甘露圖에 담겼다. 16~18세기 감로도에는 작법과 범패를 진행하는 승려의 무리와 별개로 施食壇 앞쪽에 서서 손에 鉢盂를 들고 의식을 주도하는 승려가 비중있게 표현된다. 『眞言勸供』, 『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 『雲水壇』 등을 통해 시식단 앞의 승려는 의식을 이끌어가는 증명법사임을 알 수 있다. 손에는 물을 담은 발우와 버드나무 가지를 상징하는 의식구를 들고 있는데, 이는 楊枝淨水法에서 연원한다. 양지정수가 다양한 시식의례의 핵심절차가 되면서, 버드나무 가지를 대신하는 솔, 붓, 숟가락 등 실제 사용되던 다양한 의식구가 도해되었다.
    灑水로 도량을 청정하게 하고 공양물을 감로로 변화시키는 變食절차의 극적인 장면은 19세기 서울, 경기지역에서 제작된 감로도에서는 사라진다. 수락산 흥국사 감로도와 같은 대형화된 의식을 담은 감로도에는 큰 발우에 담긴 공양물을 단으로 옮기는 행렬과 佛名幡과 祝壽牌가 휘날리는 행사의 장면이 마치 공연의 장면처럼 도해되었다. 본고에서는 1496년 간행된 『眞言勸供』, 虛應堂 普雨(1509~1565)의 『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 淸虛 休靜(1520∼1604)의 『雲水壇』, 『五種梵音集』(1661년), 『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1721년)과 月渚 道安(1582~1655), 枕肱 懸辯(1616~1684) 등 승려 문집에서 조선시대 의식 수행을 위한 소임의 분화와 소임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소임의 분화는 불교 의식의 대중화에 따른 사찰 운영의 한 특징이다. 의식을 봉행하기 위해 유나 등에 의해 사찰 구성원 내에서 소임이 정해지기도 했지만, 전문화된 승려가 외부에서 초빙되었다. 化主는 비단 勸善으로 施主를 모연하는 재정적인 측면뿐 아니라 전문화된 승려를 청해오는 일도 담당하였다. 作觀이 위주가 되던 의식수행에서 점차 도량의 설비가 중요시되고 작법이 강조되었다. 설법을 맞는 法師 혹은 會主, 일의 전반을 살피는 證明 혹은 秉法과 같은 역할 이외에도 堂司의 여러 곳과 야외에 마련된 壇을 꾸미고 도량장엄을 담당하는 화승과 서기, 범패승과 같은 작법승이 총동원되었다. 불사를 위해 교단의 인적 자원이 총동원되고 승려가 전문화되는 과정은 조선시대 특징적인 장르인 감로도에 도해되었다. 이러한 접근은 방법론적으로 문헌 기록과 그림, 해석의 상관관계를 탐색하는 것으로, 감로도의 기능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opularization of rituals in the Joseon period brought various changes to Buddhist temples. Key examples include the evolution of main buildings from symbolic spaces representing the world of the Buddha to venues for meeting the demands of various rituals, a process that included the installation of an interior ceremonial altar; and the formation of inner courtyards around the main Buddha halls(主佛殿) and pavilions to create outdoor ritual spaces. As rituals came to account for a greater proportion of religious activity, such physical changes were accompanied by operational changes. Ritual texts published from the 16th century confirm the emergence of separate ritual duties outside the everyday organization of the temple. Rituals such as that for the deliverance of the creatures of water and land(水陸齋) and that of preparatory cultivation(預修齋) required several days of preparation. Many people, from both the Buddhist clergy and laity, took part in these preparations; while some temples may have been able to rely solely on their own members, in most cases collaboration based on monastic lineages and other relationships was required. Efforts to standardize sporadically conducted procedures and acquire equipment needed, while systematically arranging the duties associated with preparing rituals and relating the virtues required of ritual monks and the meanings of the procedures involved, were an important part of Buddhist ritual texts published during the Joseon period.
    Gamnodo, a genre of painting particular to this period, contain scenes showing Buddhist rituals being prepared using the full resources of a temple and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legitimate procedures. 16th to 18th Gamnodo prominently show both monks performing ritual dances and chants, and a monk standing in front of the food-offering altar, holding food and leading the ritual. Texts such as Jineon geongong(眞言勸供), Suwoldoryang gonghwabulsa yeohwan binju mongjung mundap(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 and Unsudan (雲水壇) tell us that the monk in front of the food-offering altar was a jeungmyeong beopsa(證明法師). In his hands, he holds a meal bowl containing water and a ceremonial implement symbolizing willow branches; these have their origins in the “willow branch water purification technique.” As willow branch water purification became a core procedure in various food offering ceremonies, paintings came to show practical items such as brushes and spoons instead of willow branches.
    Dramatic scenes showing the purification of temples by sprinkling water and procedures for transforming devotional water into gamno (sweet dew, 甘露) disappear from gamnodo produc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in the 19th century. Gamnodo depicting enlarged rituals, like that held at Heungguksa Temple at Mt. Suraksan, show processions in which devotional water is brought to the altar in a large bowl, and events festooned with flags bearing Buddhist names and longevity tablets, like scenes from a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the conducting of rituals, division of related roles, and understanding of these roles, based on the 1496 text Jineon geongong(眞言勸供), the monk Heoeungdang Bou (1509~1565)'s Suwoldoryang gonghwabulsa yeohwan binju mongjung mundap(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 Cheongheo Hyujeong (1520~1604)'s Unsudan(雲水壇), the texts Ojong beomeumjip(五種梵音集; 1661) and Cheonji myeongyang suryukjaeui beomeumsanbojip(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 1721), and anthologies of works by monks such as Woljeo Doan (1638~1715) and Chimgoeng Hyeonbyeon (1616~1684).
    The division of roles was one feature of temple management following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t rituals. Roles were assigned to members of temples by officials such as yuna(維那), but specialist monks were also invited from outside. Hwaju(化主) were in charge not only of the financial aspects of soliciting funds from donors but of inviting specialist monks. While rituals had previously been conducted primarily through meditation or contemplation, greater importance was now placed in equipment at the venue, with an emphasis on ritual composition. In addition to roles such as beopsa (法師) and hoeju (會主) to deliver sermons, jeungmyeong (證明), and byeongbeop (秉法), a number of jakbeop (作法) monks such as hwaseung (畵僧), seogi (書記) and beompaeseung (梵唄僧) played roles in decorating indoor areas and altars erected outdoors, creating a suitably magnificent ambience at the ritual venue. Mobilization of all temple personnel and specialization of monks are illustrated in gamnodo, a genre particular to the Joseon period.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approach facilitates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gamnodo by exploring the interrelations between interpretation of written records and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