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중・후기 虎圖의 유형과 도상-기년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es and Images of Tiger Paintings (虎圖) Created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Joseo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2.10
44P 미리보기
조선중・후기 虎圖의 유형과 도상-기년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28호 / 192 ~ 235페이지
    · 저자명 : 윤진영

    초록

    호랑이 그림은 조선후기의 翎毛畵와 民畵의 주제로 널리 그려진 그림이다. 호랑이는 공포의 대상이자 雜鬼를 물리치는 靈物로 혹은 수많은 民譚과 說話의 주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여러 상징과 은유가 담긴 조선시대의 호랑이 그림은 畵員畵家의 양식과 民畵로 나뉘어져 다양한 층위를 이루며 그려졌다. 시기적으로는 화원화가들의 호도가 18세기에 주로 그려졌고, 민화 호도는 19세기에 제작된 사례가 많았다. 본고에서는 제작시기가 밝혀진 虎圖를 다루면서 18세기에 이루어진 畵員樣式 호도의 특징과 변화과정을 중심에 두고자 했다. 그리고 17세기 이전의 자료적 공백을 보충할 수 있는 도상으로 15, 17세기 胸背의 虎豹 도상과 17~19세기에 전개된 四獸圖의 虎圖를 살펴보았다. 이는 일반 虎圖의 전통은 물론 민화 호랑이 그림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어 호도의 양식을 구체적이고 폭넓게 논의하는데 도움이 된다.
    지금까지 화원양식의 호랑이에 대해서는 金弘道와 몇몇 화원 화가들의 그림을 중심으로 定型을 제시한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明代 ‘出山虎圖’ 양식의 전래가 확인되고, 관련 도상이 소개됨으로써 화원들이 남긴 虎圖의 계통을 좀 더 자세히 다룰 수 있게 되었다. 화원양식 호도의 연구는 특히 민화 호랑이 그림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연구이다. 화원양식 虎圖를 범주로 하여 양식의 영향관계, 선후관계, 인과관계, 편년의 문제 등을 논의한 뒤, 이를 민화의 영역으로 확장하여 고찰해 나가는 것이 虎圖에 대한 미술사적 과제가 될 것이다.
    본문에서 다룬 주요 내용은 첫째, 15세기~17세기 功臣畵像의 흉배에서 호랑이에 표범의 무늬를 습합시킨 도상을 확인하였고, 이것이 조선말기의 민화 호랑이에까지 적용되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호랑이와 표범을 한 마리의 동물로 표현할 때, 그 대표 형상은 호랑이가 아니라 표범과 습합된 도상으로 그려졌다. 또한 표범을 호랑이와 상생의 존재로 동일시한 당시의 보편적인 인식을 엿 볼 수 있었다.
    둘째, 17세기 중엽이후 19세기까지 호랑이 그림의 변모 과정을 山陵都監儀軌 四獸圖의 白虎를 통해 살펴보았다. 사수도의 백호는 17세기에서 19세기까지 호도의 유형과 흐름을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다만 1630년 이전의 도상은 의궤가 전하지 않아 살필 수 없지만, 백호가 일반 호도의 양식과 영향 관계를 맺으며 전개된 점이 주목된다. 물론 백호는 일반 화원양식과 바로 互換할 수 없는 특수성이 있지만, 사수도의 호도가 기존의 호도 연구에 어떤 새로운 시사점을 주는가에 중점을 두었다. 산릉도감의궤에 나타난 백호의 네 형식은 동시기 호랑이 그림의 변화를 단계별로 검토하고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셋째, 18세기 명대 ‘出山虎圖’의 영향을 반영한 화원양식의 그림을 단계별로 정리해 보았다. 18세기와 19세기 초에 제작된 화원양식의 호도를 ‘출산호도’와 관련지어 고찰한 선행 연구는 아직 없었다. 명대 ‘출산호도’류의 도상이 이를 연결 지어 살펴보게 된 단초가 되었다. 명대 ‘출산호도’류의 도상은 18세기를 거치며 화원화가들이 한국화 된 양식을 정립시켰고, 19세기 이후에는 이를 기반으로 민간 화가들이 민화의 장르로 대중화해 나갔다. 이처럼 한국적인 변용과 대중화는 호랑이 그림이 보여준 중요한 繪畵史的 의의이자 성과라 할 수 있다. 조선중ㆍ후기의 호랑이 그림에 대한 접근은 단순한 翎毛畵에 대한 관심을 넘어 한국적 미감과 대중적 선호로 전환시킨 대표적 회화양식의 탐색이라는 점에 그 의미를 둘 수 있다.

    영어초록

    Tiger painting is the painting that was widely drawn as the theme of Youngmohwa (翎毛畵; the Bird-and-Animal Painting) and folk painting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The tiger is the object of fear and also the mystical creature driving away evil spirits. It is also well-known as the main character of countless folktales and fables. The tiger paintings drawn in Joseon with various symbols and metaphors were drawn in diverse strata as divided into the patterns of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and folk paintings. In terms of time,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s tiger paintings were mainly drawn in the 18th century, and many of the folk tiger paintings were designed in the 19th century. While dealing with the tiger paintings whose period of creation is known, this article tried to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iger paintings in the patterns of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during the 18th century and also the process of their changes. And as the images to complement the material blank before the 17th century, this paper examined the tiger and leopard images in the 15th- and 17th-century embroidered insignia and also the tiger paintings in the paintings of “the four directional animals (四獸)” developed during the 17th till the 19th century. Of course, the tradition of general tiger paintings is closely related with folk tiger paintings, so it is helpful for more concrete and broader discussion on the patterns of tiger paintings.
    About the tigers in the patterns of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there has been research that suggests the standards centering around Kim Heung Do and some of the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However, as the transmission of the patterns of ‘Chulsan Tiger Painting (出山虎圖)’ was recently discovered and related imaged were introduced, we can deal with the systems of tiger paintings that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left more precisely. The research on tiger paintings in the patterns of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should be conducted in advance in order to examine the folk tiger paintings. After discussing the matters of influence among patterns, context, causality, and chronological recording with the category of tiger paintings in the patterns of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we should extend this to the area of folk painting for further consideration, and this should be the tasks of art history in the area of tiger painting.
    First, the chief content dealt with in this paper is to find the images that combine the tiger with the patterns of the leopard in the embroidered insignia of Gongsinhwasang (功臣畵像) in the 15th till the 17th century. This study examined the phenomenon of how this was applied to the folk painting tigers until the end of Joseon. When they expressed the tiger and leopard as an animal, the typical form adopted was not the tiger but the image that it was combined with the leopard. Also, we can see the general recognition of the time that they identified the leopard and the tiger as beings that live helping each other.
    Second, this study examined how tiger paintings changed from the mid-17th till the 19th century with the white tigers in the paintings of “the four directional animals” of Sanreungdogamuigue (山陵都監儀軌). The white tigers in the paintings of “the four directional animals” are the materials we can refer to in order to figure out the types and flow of tiger paintings from the 17th till the 19th century. Yet, the paintings before 1630 cannot be investigated because the uigue has not been transmitted. However, we can focus on the fact that white tigers did develop in association with the patterns of general tiger paintings and the influence. Of course, white tigers are specific in that they cannot be converted directly with the general patterns of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what new implications the tiger paintings in the paintings of “the four directional animals” do provide for the previous research on tiger paintings. It is meaningful that the four forms of white tigers shown in Sanreungdogamuigu are the criteria to examine and compare the changes of tiger painting in the same period by steps.
    Third, this paper summarized the painting patterns of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reflecting the influence of ‘Chulsan Tiger Painting’ in the 18th century of the Ming Dynasty by steps. There has been no advanced research that considers the tiger paintings in the patterns of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created in th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in association with ‘Chulsan Tiger Painting’ yet. The images of ‘Chulsan Tiger Painting’ during the Ming Dynasty were the clue to examine it in connection with this. In terms of the images of ‘Chulsan Tiger Painting’ in the Ming Dynasty, professional painters in government employ established Korean-styled patterns passing through the 18th century. And after the 19th century, folk painters popularized it as the genre of folk painting based on that. Like this, Korean-styled alternation and popularization can be said to be the crucial significance and fruition of painting history that tiger paintings did exhibit. The approaches of tiger paintings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Joseon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re not just limited to the interest in Youngmohwa but explore representative painting patterns converting to Korean-styled aesthetics and popular prefer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전